명량
김호경 지음, 전철홍.김한민 각본 / 21세기북스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요즘 대한민국은 영화 명량을 보지 않으면 사람들과 어울릴 수가 없을 정도로 이순신 열풍이 뜨겁다. 영화 명량1597, 12척의 배로 330척에 달하는 왜군의 공격에 맞서 승리한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재구성한 것으로 벌써 1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이순신은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늘 꼽히지만 최근의 열풍은 신드롬에 가깝다.

 

나는 시간을 내어 한편의 영화를 감상한다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량을 보지 아니하면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부끄럽다는 생각을 가지고 늦은 밤 시간을 이용하여 명량을 감상했다. 상영시간의 절반이나 되는 61분간의 드라마틱한 해상 전투극이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는 긴장감과 승리의 통쾌함으로 나를 사로잡았다. ‘장수된 자의 의리는 충()을 좇아야 하고, 충은 임금이 아니라 백성을 향해야 한다는 이순신의 일갈이 너무나 감동적이었다.

 

이 책은 낯선 천국으로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한 김호경이 명품배우 최민식 · 류승룡 주연 액션사극의 새역사 최종병기 활의 김한민 감독 극본 · 연출로 제작 전부터 숱한 화제를 불러일으킨 영화 명량을 소설화 한 것으로 숨 막히도록 치열했던 그 역사 현장을 지면에 담아냈다.

 

이 책은 모함으로 억울한 옥살이를 한 이순신 장군이, 그가 옥에 갇힌 동안 벌어진 칠천량 싸움에서 모두 격파되고 남은 12척의 수군으로 330척에 이르는 왜적에 맞서 싸운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다. 거대한 적수에 나라의 수장인 선조 임금조차 바다를 버리고 육지의 권율에게 합류하라고 명하지만, ‘바다를 버리는 것은 조선을 버리는 것이라 믿은 이순신 장군은 12척의 판옥선을 정비해 바다로 나선다.

 

이 순신 장군은 백성이 있어야 나라가 있고, 나라가 있어야 임금이 있다.”고 하면서 자신은 장수로서 백성을 위해 싸운다고 했다.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에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소신에겐 아직 열 두척의 배가 남아있다330척의 왜군을 상대로 맞서 싸워 우리 편에 유리했던 회오리를 만나 8시간 만에 적군을 물리쳤다.

 

이순신 장군은 회오리보다 더 큰 천행으로 백성을 꼽는다. 회오리에 갇혀 서서히 침몰해가던 대장선을 구한 것이 바로, 낫과 갈고리를 든 채 어선을 끌고 바다로 나간 백성들이었기 때문이다. 전투를 지켜보던 백성들은 자신들을 버리지 않고 지켜준 이순신 장군을 위해, 자진해서 바다로 뛰어들었다. 그리고 이순신 장군은 명량의 승리를 자신이 아닌 백성의 것으로 전한다. 진심에서 우러난 존경과 신뢰가 약탈의 야심 앞에 목숨을 지키고 터전을 지킨 힘이 된 것이다.

 

당리당략과 정치적 권모술수만 횡행하고 지도층의 무능과 무기력이 최고조에 달했던 선조시대에 이순신이라는 영웅이 출현한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대한민국은 구국의 영웅 이순신처럼 난세를 극복할 책임감 강하고 든든한 리더십을 갈망하고 있다.

 

이 책을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청소년들은 물론 모든 국민들은 누구나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아마도 근래에 와서 이 책만큼 재미있게 읽은 책은 없었다고 고백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