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고 싶은 집 짓고 싶은 집 - 아파트와 단독주택 사이에서 고민하는 당신을 위한 삶이 깃든 좋은 집 17
강영란 지음 / 한빛라이프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나이가 더 들고 여유가 생기면 나도 ‘황토집’을 지어 살고 싶다는 상상을 했다. 통나무로 집을 짓건 황토 흙으로 집을 짓건 바라는 대로 조용한 숲 속에 집을 짓고 사는 삶이란 도시 생활에 지친 사람들에게는 마음 깊은 곳에서의 로망이 될 것이다.
도시에서 길들여진 편안한 삶을 포기하지 못 하는 사람에게는 결코 꿈꿀 수 없는 그런 삶이 바로 숲 속에서의 삶일 것이며, 자연과 함께 하는 삶이 될 것이다.
확실히 언제라고 말 할 수는 없지만 강원도 평창에 사두었던 땅에다 전원주택을 짓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던 차에 <살고 싶은 집 짓고 싶은 집>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은 현재 아이디어5 건축사사무소 대표이자 건축사로서 서대문구와 부천시의 건축심의위원, 인천도시공사 설계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건축이 사람의 삶에 보다 쉽고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강영란 건축사가 김수근 건축가가 설립한 ‘공간건축’에서 소장으로 일하면서 ‘왜 건축은 음악이나 미술처럼 대중과 가깝지 못하고 멀게만 느껴질까’라는 생각을 하다가 삶을 설계하는 대한민국의 건축가 12명이 지은 삶이 깃든 좋은 집 17채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이웃과 자연이 함께하는 건강한 집을 짓는 방법과 나만의 개성을 살린 집을 짓는 방법, 예스러움과 모던함이 어우러진 집을 짓는 방법 등을 알려준다. 낡은 건물을 고쳐 추억을 되살린 집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집 짓기’ 열풍이 불면서 많은 사람들이 좋은 집을 짓고 싶어 하지만 어떤 집이 좋은 집인지에 대해서는 대부분 혼란스러워 한다. 어떤 사람은 아파트를 선호하고, 어떤 사람은 단독주택을 선호한다.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기존 집을 아예 부수고 새로 지어야 할지 고쳐 살아야 할지, 도시에서 살아야 할지 자연이 있는 시골로 가야 할지 등 수많은 선택지 앞에서 망설일 수밖에 없다.
이 책은 모두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이웃과 자연이 함께하는 건강한 집을 짓다’에서는 이웃과 자연이 함께하는 건강한 집을 소개한다. 환경이 파괴되고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자연과 함께하고픈 인식 변화와 함께, 보다 건강한 삶에 대한 바람이 건강한 집을 꿈꾸게 한다. 2장 ‘조금은 다르게 개성을 살린 집을 짓다’에서는 비슷비슷해 보이는 단독주택보다는 나를 닮은 집을 짓고 싶어 한다. 평범하고 저렴한 재료를 쓰더라도, 남보다 작은 집을 짓더라도 나만의 색깔이 묻어나는 집을 지음으로써 고정관념을 탈피한 좋은 집들을 만나본다.
3장 ‘예스러움과 모던함이 어우러진 집을 짓다’에서는 현대 건축으로 가득 찬 도시 속에서 전통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간직한 집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4장 ‘낡은 건물을 고쳐 추억을 다시 짓다’에서는 나의 상황과 현실에 맞게 기존에 살던 집이나 상가, 아파트를 고쳐 살고 싶은 생각이 들 때 과거의 기억을 송두리째 버리는 것이 아니라 집에 담긴 추억을 되살리고 새로운 행복을 쌓아가는 좋은 집의 모습을 짚어본다.
저자는 “집은 과시나 우월의 징표가 아닌 행복을 전제로 지어질 때 비로소 좋은 집이 된다”고 강조한다. 집이 나를 닮고 공간이 나를 닮았을 때 느끼는 행복감이 살아있는 집에 살고 싶은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