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빈 토플러처럼 생각하는 법 - 미래 소비자의 마음을 읽는 기획의 기술
최윤식.박복원.양성식 지음 / 라이온북스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인류는 어떤 시대나 미래에 대해 예측하고자 노력해왔다. 미래에 대한 예언과 예측과 분석들이 늘 있었다. 미래학의 선두주자, 특히 정보화시대가 낳을 미래에 대해 가장 먼저 주목한 학자가 앨빈 토플러라고 하는데 대해서는 이견을 달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그가 25년에 걸쳐 저술한 세 권의 저서 때문이다. ‘미래 쇼크’를 비롯하여 ‘제3의 물결’ ‘권력이동’ 등은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였고, 지금도 언론에 의해 끊임없이 재인용되는 미래학의 대표적인 책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 책은 아시아미래인재연구소 소장인 최윤식 박사와 박복원, 양성식 3명의 공동 저자가 쓴 것이다. 이 책은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를 직접 다루는 책은 아니다. 다만 오늘날과 같은 불황과 불확실성의 시대 변화를 따라잡기 위해 미래를 보는 눈을 길러야 된다고 강조한다. 즉 앨빈 토플러가 가진 사고를 가져야 된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논리적 창의력과 시스템적 상상력이 미래학자들에게만 필요한 자질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현재에 있는 무엇인가를 좀 더 좋게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것을 머릿속에 그리고 현실화 하려는 이들에게 토플러식 사고법이야말로 이 시대 최고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 최대 투자회사로 꼽히는 핌코(PIMCO)의 대표 모하메드 엘 에리언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세상을 뉴노멀, 즉 ‘새로운 표준’이라고 정의했다. 모하메드 엘 에리언의 말은 위기 이후에 세상이 나가야 할 새로운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수많은 기업들이 ‘평균으로의 회귀’라는 관성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말하면 평온했던 시기로 곧 돌아갈 것이라는 기대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최근에는 ‘소비자 인사이트’라는 키워드가 주목받고 있다.”고 하면서 인사이트는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꿰뚫어 본다.’는 의미의 ‘통찰’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마케팅에서는 소비자 인사이트를 소비자의 의식이나 행동을 깊이 있게 탐구함으로써 소비자 스스로도 자각하지 못하는 속마음, 또는 무의식을 꿰뚫어보는 일이라고 정의한다.

 

스티브 잡스는 <애플웨이>에서 “사람들은 대개 자신이 원하는 것을 보여주기 전까지는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순겨진 욕구와 결핍을 찾아내 해결하는 스티브 잡스의 천재적인 재능이 소비자 자신도ahffkTejs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선호를 만들어냈다고 한다.

 

저자는 “미래에는 과거의 경험에 의거한 직감이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복잡한 상황이 수시로 발생할 것이므로 직감에 의해 의사결정을 내리거나 이것저것 다른 기업들이 하는 사업을 따라가는 것으로는 승산이 없다”고 말한다. 그러면 미래의 소비자들은 어떻게 변할까? 이 질문에 해답응 찾는 일은 기업의 영원한 숙제다. 과연 다가올 미래의 새로운 소비 형태는 어떤 것일까. 향후 5년 이내에 모바일 환경이 더욱 더 혁신적으로 발전하면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가상공간에 접속하여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현실을 능가하는 가상기술을 활용한 환상적인 소통 문화가 생겨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20세기 경영은 리스크를 관리하는 경영이라고 한다면 21세기 경영은 불확실성과 의혹을 관리하는 경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불확실성에 어떻게 대응해나가느냐가 개인을 비롯하여 기업과 국가의 운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선택이 될 것이다. 라고 저자는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