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의 심장 '우뇌' - 감성의 중심 ‘우뇌’를 움직이는 우.뇌.경.영.법
이시형 지음 / 풀잎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신과 의사이요, 베스트셀러 저자이며, 국민건강과 자기계발, 자녀교육, 공부법 등 여러 가지 주제로 남녀노소 모두에게 인기가 높은 이시형 박사가 ‘미래를 선도하는 창조의 중심엔 우뇌형 한국인이 있다’고 하면서 기록한 것으로 5섯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언젠가 이시형 박사가 쓴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는 책을 읽고 많은 것을 깨닫고 감동을 받은 적이 있었다. 이시형 박사는 뇌과학적 근거를 통해 불황을 극복하는 창조적 인재로 거듭날 수 있는 공부법을 전하면서 정신과 전문의로서 '모든 것이 흔들리는 불확실하고 불안한 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란 질문에 '공부'라고 답한다. 죽을 때까지 해야만 하는 가장 가치 있는 일이며, 회사가 필요로 하는 창조적 인재가 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주장하는 책이었다.

이 책에서는 한국인의 우뇌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한국은 한강의 기적을 일으킨 저력 있는 민족으로 지난 40년간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으며, GNP 400배의 놀라운 경제 성장을 이룩한 뛰어난 민족이다. 세계를 휩쓸고 있는 한국형 디자인과 한류열풍, IT 강국으로서의 주도적 면모 등 이 모든 것들은 한국인의 우뇌적 창조성과 감성에서 비롯된 필연적 결과라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이 책의 목적은 우리 민족의 그 신비의 힘과 우수성에 관해 분석하고, 그 학술적 논거를 찾기 위해 최신 뇌과학적 지식을 동원한다. 인간의 뇌는 좌, 우 양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는 뇌량으로 연결되어 있다. 기능이 각각 다르다는 사실이 미국의 신경생물학자 로저 스페리의 연구로 밝혀졌다고 한다.

창조력의 기본은 언어력인데 우뇌형 사람은 감정이 풍부한 표현을 잘 한다. 말보다는 타인의 표정과 몸짓 언어를 잘 읽어내고 해석하기 때문이다. 좌뇌가 세부적, 순차적, 논리적, 분석적인 기능을 갖는다면, 우뇌는 전체적 조망, 비선형적, 직관적, 감성적이라고 한다.

한국인은 우뇌형 인간이기 때문에 세계인들이 부러워하는 젓가락의 기술, 생명 공학의 기술, 반도체 기술을 가질 수 있었다. 지난 반세기, 한국 역사는 기적이요, 성공의 신화였다. 타고난 손재주, 모방, 눈썰미, 직관력, 도전정신과 역동성이 성공신화를 만들어 냈던 것이다.

이 책에 보면 “창의적인 개미와 베짱이”이야기가 나온다. 개미는 열심히 일하고, 베짱이는 열심히 노래를 부르며 지냈다. 그러나 열심히 일한 개미는 허리가 아파 병원에 입원하고, 열심히 노래를 부르던 베짱이는 가수로 성공한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창조적 베짱이의 성공이 어울리는 시대에 살고 있다.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인재는 두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창조적인 인간이 되거나 인간적인 인간이 되어야 한다. 창조적인 사람은 좀 시원찮은 행동을 해도 욕하지 않는다. 하지만 창조성이 부족하다면 인간적인 인간이 되어야 한다. 사교적이고 대인관계만 원만해도 살 수 있다. 우뇌의 눈으로 보면 세상이 달라 보일 것이고 성공의 해답도 찾아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