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프레드 캐플런 지음, 허진 옮김 / 열림원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흑인인 오바마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로 미국에서는 링컨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명박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링컨 관련 책을 선물했다고 한다. 이 책은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읽으면서 도움을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링컨]은 미국의 16대 대통령으로, 흑인 노예해방을 선언한 인물로 잘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링컨은 정계나 언론계 인사로부터 환영받지 못한 시골뜨기 변호사에 불과했다.

링컨은 남북전쟁을 하나님께 기도함으로 위기를 잘 극복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 사회를 통합한 대통령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미국 대통령 가운데 가장 언어를 잘 다룬 ‘문학적 대통령’으로도 꼽힌다.

지금까지 링컨에 대해서 한국에 소개된 책들이 많이 있다. 그 많은 책들이 정치, 사회적 업적에 초점을 맞추는 데 주력했다면 프레드 캐플런은 링컨을 창의적인 작가로 분석하는 전대미문의 작업에 착수하여 링컨이 민중과 소통하여 위대한 업적을 이루기까지 그에게 영향을 미친 근본 요인이 무엇이냐에 중점을 두었다. 링컨은 그 어떤 것보다 말과 글을 중요하게 생각한 인물이다.

요즘에는 연설문 작가가 연설문을 작성하지만 그 때는 상상하지도 못했던 당시 링컨은 자신의 이름으로 서명된 글은 모두 본인이 썼다고 확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는 제퍼슨을 제외한 모든 역대 미국 대통령들과 구분된다. 프랭클린 루스벨트와 존 F. 케네디를 비롯한 일부 대통령들은 우수한 연설문 작가들을 거너렸다.

링컨은 즉흥 연설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 이유는 말로 인한 실수를 최대한 줄일 뿐 만 아니라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으로도 어긋남이 없는 말만을 하려고 했다. 그는 좀 더 쉽고 대중적으로 친근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국민들과의 소통을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겼다.

뉴욕 시티대학교 부속 퀸스칼리지와 졸업생센터 영문과의 명예교수이자 마크 트웨인과 고어 비달, 헨리 제임스, 찰스 디킨스, 토마스 칼라일 등, 탁월하면서도 독보적 전기를 써온 프레드 캐플런은 링컨이 남긴 모든 글과 연설문, 다시 말해 문학적인 자질을 자세히 연구함으로써,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링컨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청년 링컨의 독서 습관을 훌륭하게 추적하고 그가 어떤 어떤 책을 읽었는지, 언어와 사상에 대해 어떤 생각을 했는지 밝히면서 링컨의 능력을 예리한 통찰력으로 보여준다.

이 책은 미국의 16대 대통령 링컨을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던 자들이 링컨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그리고 링컨을 롤모델로 삼아서, 소통과 화합과 감성의 리더십을 발휘한다면, 성공의 정상에 오를 수 있을 것이기에 앍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