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물질에서 살아남기 서바이벌 만화 과학상식 54
달콤팩토리 지음, 한현동 그림, 최경호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이 발달하면서 생활속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너무나도 많습니다.

청소용품, 세척용품, 욕실용품외에도 우리 주변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제품들 중에 화학물질이 아닌게 거의 없지요.

화학물질은 우리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어주기도 하지만 이면에 위험을 가지고 있는 유해 물질들도 많더라구요.

이번에 나온 살아남기시리즈는 유해 물질에서 살아남기입니다

 

꼬맹군 워낙 과학에 관심이 많은데 살아남기시리즈도 형이 읽던 것을 몇 권 읽었었거든요

유해 물질에서 살아남기도 도착하자마자 읽어내려가더라구요

 

살아남기 시리즈가 그렇듯이 모험을 즐기며 사건을 해결에 관심이 많은 지오와 유해 물질에 대한 정보가 해박한 미키가

정글에 온 소녀 피피가 겪은 사건을 같이 해결해 나가는 이야기입니다.

등장인물들이 특별한 친구들이 아니라 아이가 더 공감하며 읽을 수 있는 책입니다.
 

만화스토리에 푹~빠져 책을 읽고 있는 꼬맹군

미래엔 아이세움의 살아남기 시리즈의 만화는 기본적으로 과학적 상식을 바탕으로 어떻게 살아남아야하는지 상황별로 스토리에 잘 녹아들어 만화를 그리셨더라구요.

색감도 좋고 스토리 자체가 정말 유익해 만화만 읽어도 다양한 주제별 정보를 얻을 수 있어 굿~입니다.

유해 물질에서 살아남기에서는 너무 깨끗하게 청소용품으로 청소한 케이 땜시 일어난 피피의 알러지부터 시작해

새 집 증후군 그리고 새 차 증후군에 대해서도 알려주네요.

새 차를 사면 차가 아까워 진짜 시트를 감싼 비닐도 안벗기는 사람들이 많은데 절대 그러면 안 될 것 같습니다.

그것이 오히려 안좋은 유해 화학물질을 더 차안에 갇두어 두는 결과가 되니 말이어요.
 

새 차나 새 집의 경우 적당하게 온도를 올려 유해물질을 빨리 배출하게 하는 베이크 아웃에 대해서도 알려줘 유해물질에 대한 경고 뿐 안니라 생활속에서 유해물질을 어떻게 배출시켜야하는지 노출이 적게 되는지 알려줍니다.

다음에 새 집으로 이사를 가면 베이크 아웃을 해봐야겠습니다.
 

과학학습만화 유해 물질에서 살아남기에는 서바이벌 유해 물질 과학상식이라는 코너가 있는데요

상식, 지식을 전달하는 코너이네요.

만화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알아야할 중요한 것들에 대한 정보는 이렇게 따로 실어 배경지식을 쌓기에도 좋습니다.

 

꼬맹군이 읽던 만화중에 화학박물관 화장실에서 쓰러진 청소부 아주머니와 피피 그리고 그외 사람들의 증상을 보며

청소제품도 함부로 세정력을 올린다고 섞어서 쓸 것이 아니라는 걸 느낍니다.

염소계 세정제와 식초가 만나면 염소가스가 발생한다는 사실..

염소가스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 학살에 많이 쓰던 가스라니..ㅠㅠ너무 무섭네요.

염소와 같은 7족 기체들의 독성은 많이 알려진 사실인임에도 우리는 그걸 간과하고 지나치는 경향이 있는데 가정에서도 주의해야겠습니다.

 

이런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으로 인해 요즘은 화학 제품이나 화학 물질을 안쓰는 노케미족들이 늘어난다고 합니다

마침 집에 있는 노케미 하우스를 펼쳐보며 저도 화학제품을 덜 쓰는 방향으로 천연살림꾼이 되어봐야겟어요

 

한동안 가습기 살균제 논란으로 시끌시끌했는데 최근에는 아기 기저귀에서 발암물질 성분이 나왔다는 소식이 또 들려오더라구요.

화학물질 없는 세상은 없겠지만 유해 물질을 되도록이면 조금 쓰고 덜 노출되는 그런 친환경적인 삶을 살도록 애써봐야겠다는 생각을 다시금 해봅니다.


유해 물질에서 살아남기를 통해 유해 물질의 종류를 제대로 알고 유해 물질에 노출이 덜 되도록 노력하며

우리가 쓰는 화학물질은 올바른 사용법대로 사용하는 그런 지혜를 가지는게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되네요.

미래엔 아이세움의 살아남기 시리즈 유해 물질에서 살아남기는 현대를 살아가는 이라면 꼭 알고 넘어가야할 문제를 콕콕 짚어주며 해결책까지 제시해주어서 참 좋네요.


아이들과 함께 읽으며 유해 물질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한 유해 물질에서 살아남기

사회나 기업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주의를 해야한다는 사실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특히나 장난감 마구 빨거나 새것을 좋아하는 아이들에게는 주의 또 주의를 줘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