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움직이는 수학개념 100
라파엘 로젠 지음, 김성훈 옮김 / 반니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수학은 단순히 계산을 위한 연산을 위한 과목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들이 많다

아직 어린 아이들은 그것이 수학이라고 생각한다.

수학을 배우면서도 계산 연산에 급급하다.

수학은 연산 산수가 아니다 생각하는 학문이라고 아이들에게 이야기한다.'

단순한 계산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연산 계산식을 찾아내기 위한 사고의 과정을 위한 학문이라고..

이런 수학이 실제 생활에서 우리 세상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사용되고 있는지 알려주는 책이 바로 반니의 세상을 움직이는 수학개념 100이다.

책은 4부로 되어있다.

저자는 수학이 수업시간에 달달 외워 풀던 수학문제가 전부가 아님을 알려준다

수학은 실재 구조안에 들어있는 어떤 것임을

그리고 형태, 패턴, 숫자, 논증 그리고 약간의 보물을 모아놓은 집합체라고 말한다.

그래서 이 책은 1부 형태, 2부 행동, 3부 패턴, 4부 특별한 숫자로 수학의 개념 100가지를 이야기한다.


책을 소개할 때 나왔던 브로콜리에서 프랙털을?

어~ 우리가 알던 브로콜리는 프랙털하고 거리가 좀 먼 것 같은데 했더니 프랙털을 이야기한 브로콜리는 로마네스코 브로콜리로 책 속에서 나도 사진으로 처음 만났다.

정말 아름다운 기하학적 형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서 오우~ 우리가 먹는 음식재료 속에서 프랙탈을 만나다니..

이럼 자꾸 뭔가를 들여다보며 수학적 개념찾기에 열을 올릴 듯도 하다.

아이들에게 자기유사성을 띠는 생물체 찾기를 시킨다면 훨씬 더 쉽게 프랙털이라는 개념을 이해할 것이란 생각이 든다.


신발끈에서 찾은 매듭이론~

어떤 분자의 DNA가 가끔 매듭처럼 꼬이는데 그것에서 접근한 매듭이론~

ㅎㅎ 신발끈이랑 이어붙이다니..

얼마든지 수학 개념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예가 아닌가 싶다.



2부 행동에서 제일 재미있게 읽은 것은 빗속에서 최대한 안젖는 법이었다

예전에 학교다닐 때도 친구들과 많이 논쟁거리였던 것이었는데.

직각으로 내리는 비를 맞으나 비스듬히 비를 맞으나

내리는 비를 기둥에 비유하면 밑면적, 높이가 같으니 결국 맞는 비의 부피는 같다는 결론이~

그때도 결국엔 빨리 뛰어가는 것 밖에 없음이 답이었는데 수학적으로 완벽하게 설명이 되니 명쾌하다.


3부 패턴에서는 알파고 덕분에 더 관심이 간 바둑에 대한 이야기였다.

바둑의 경우의 수가 우주에 존재하는 원자의 개수보다도 훨씬 많음을

그래서 바둑에서 일곱수 앞을 내다보려면 컴퓨터가 1조의 만배나 되는 경우의 수를 검토해야한다고 한다.

그럼 알파고를 1번이라도 이긴 이세돌 9단은??

알고보면 대단하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한다.

아무 생각없이 바둑판을 보곤 했는데 경우의 수로 보면 그게 아님을 알 수 있다.

마지막 4부 특별한 숫자에서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파이이야기, 진법에 대한 것들도 있지만

미터법의 기원은 단위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해 함 뽑아보았다.

나는 아이들에게 특히나 수학이나 과학시간에 단위이야기를 하면서 단위에 쓰이는 접두사를 강조한다.

접두사만 제대로 알아도 단위환산이 쉽기 때문이다.

모든 단위를 따로 다 외우기보다는 정의에 의거하여 미터법에 따라 단위를 익히면 편리한데 그 기원을 알려주니 흥미진진~하다.


반니의 세상을 움직이는 수학개념 100은 수학이 우리 생활에 얼마나 깊숙히 침투해있으며 수학적 개념이 없는 것은 없다는 걸 알려준다.

아이들이 이런 수학교양서를 읽으면서 좀 더 수학에 대한 친근함을 가지게 되었으면 좋겠다.

단 약간 아쉬운 점은 100가지 수학개념을 넣다보니 깊이 있는 설명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좀더 깊이 있게 다루어주었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든다.

그러나 수학이 없으면 이세상이 존재할까? 싶을 정도로 일상생활이나 과학, 미술, 음악, 사회 전반에 걸친 수학이야기가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