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통찰 - 위대한 석학 21인이 말하는 우주의 기원과 미래, 그리고 남겨진 난제들 베스트 오브 엣지 시리즈 4
앨런 구스 외 지음, 존 브록만 엮음, 이명현 감수,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이즈베리의 베스트 오브 엣지 시리즈를 처음 만난 건 두번째 책 컬쳐쇼크를 통해서였다.

세번째 책 마음의 과학에 이어 네번째 책 우주의 통찰을 만났다.

과학쪽에 관심이 있어 책이 두께가 꽤 되어도 읽어봐야겠다는 마음이 든 책이다.

우주의 통찰은 엣지 재단의 위대한 석학 21인이 말하는 우주의 기원과 미래 그리고 남겨진 문제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500여페이지나 되니 많이 두꺼운 책이긴 하다.

우주의 통찰은 엣지 온라인 페이지에서 선별한 21편의 글을 실고 있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강연이나 글을 옮겨 적은 글로 엣지 온라인에서 동영상이 함께 제공되는 것이 상당수 있다고 한다.

우주의 통찰을 읽고 관심이 있다면 동영상을 봐도 좋을 듯 하다.


우주의 통찰은 앨런 구스의 우주론의 황금시대를 시작으로 순환우주론, 급팽창 우주.... 마지막 21번째는 폴란드 태생의 수학자이자 프랙털 기하학을 창시한 브누아 망델브로의 거칠기이론으로 끝을 맺는다.

마지막이 어째 우주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브누아 망델브로의 자신에 대한 회고를 실었는지 궁금해 거꾸로 21번째 글을 먼저 읽어보았다.

존 브록만의 서문에 따르면 우주를 이해할 때 필요한 재발명을 지칠줄 모르고 받아들이던 망델브로의 포용력에 대한 헌사라고 한다.

망델브로의 프랙털 기하학이 창시되기까지 그의 이야기를 빌려보자면 그는 시대를 너무 앞서가서 탈이었는지도 모른다.

브라운 운동에서 시작한 프랙털 기하학..

남들이 하지 않은 생각을 시작함으로써 오랜시간 우리곁에 있었던 것들을 발견한 자신에 대한 회고를 보면서 한계를 넓히겠다는 목표가 결국엔 뭔가를 알아내는 원동력이었다는 걸 말해준다.

이 원동력이 우주의 통찰에서보면 우주를 향한 끝없는 연구가 아닐까 싶다.


우주에 대한 이야기는 학창시절 지구과학시간에 배운 지식이 다가 아닐까 생각한다.

우리가 아는 세상이 전부라고 생각하고 살던 시절도 있는데 전 우주론적으로 보자면 가시물질은 4.9%밖에 되지 않는다니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아직 발견하지 않은 것이 훨씬 많음을 인지해야겠다

그렇다면 우주에 대한 연구는 해도해도 끝이 없을 듯 하다는 생각이 팍팍든다.


일반인들에게 암흑에너지나 암흑물질, 우주 팽창, 초끈이론 이런 건 솔직히 어렵다

그 어려운 이야기를 그래도 쉽게 풀어내고 있는 것이 우주의 통찰이다.

설명도 어렵지 않아 일반인도 읽을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론물리학자이거나 우주론학자들이 들려주는 자신의 연구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들의 연구를 통해 우주에 대한 연구가 어디까지 진행되었고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어렵다고 생각하는 우주에 대한 최근이론이나 지식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우주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포함하지만 그보다 더 넓은 세계를 보는 것이므로

까도 까도 속을 알 수 없는 양파같은 존재가 아닐런지~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파헤친 우주의 본질에 대해 궁금하다면 우주의 통찰을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