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땅 곤충 관찰기 1 - 꼭꼭 숨은 곤충의 집 우리 땅 곤충 관찰기 1
정부희 지음, 최미란.조원희 그림 / 길벗스쿨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남자아이들은 성장기에 따라 관심사가 달라진다.

유아기엔 자동차 유치기엔 공룡 그다음으로 유치 초등에선 곤충 특히나 장수풍뎅이

그리고 고학년이 되면 스포츠로 자연스럽게 관심사가 옮겨짐을 느낀다.

아들아이가 어릴 적 곤충에 관심이 많아 파브르 곤충기 6권인가를 사줬던 기억이 있다.

거기다 장수풍뎅이를 키우고 싶어해 곤충체험전에 가기만 하면 애벌레를 사와 열심히 젤리 먹여키웠고

그 놈이 집을 탈출을 해서 아파트 거실을 막 날라다니던 생각도 난다.


역시나 아직 초등학생인 석군도 곤충에 관심이 많다.

길벗스쿨의 우리땅 곤충 관찰기가 오자 쇼파에 엎드려 열독중이시다

뭘 보나 살짝 훔쳐보니 새똥하늘소부분을 읽고 있다.

그새 많이도 읽었구나.

역시 남자아이들은 곤충책을 보면 관심사니 바로~ 휘리릭 읽어버린다.

 

우리땅 곤충 관찰기는 한국의 파브르라 불리우는 정부희 선생님이 쓴 어린이를 위한 곤충 특강이라고 생각함 딱이다.

제목 그대로 우리땅의 곤충들을 일일히 찾아 직접 사진도 찍어 만든 책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곤충을 만난 장소며 시간을 적어놓은 지도도 들어있어 왠지 그곳에 가면 선생님이 본 그 곤충을 볼 수 있을 것도 같다.

장소 중엔 우리가 여행으로 갔던 곳도 있어 아이와 책을 읽고 나눌 이야기거리가 많다.

 

우리땅 곤충 관찰기는 곤충이 사는 장소에 따라 4가지로 크게 분류하여 실고 있다.

풀밭에 사는 곤충

나무줄기에 사는 곤충

물에 사는 곤충

흙과 모래에 사는 곤충

곤충들의 사는 곳을 보면 영역이 거의 일치하는 법이 없이 서로 다른 곳에서 산다.

그것은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아 먹이 등을 다투지 않고 평화롭게 살수 있기 때문이란다.

우리가 보기엔 아주 작은 크기의 동물이지만 참으로 제혜로운 동물이 아닐 수 없다.

거기다 천적에게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위장술이 대단하다.

특히나 대벌레

나뭇가지랑 똑 닮아 구분이 안가는 대벌레를 직접 처음 본 것은 어떤 곤충체험전에서였다.

당시 외국에서 온 그 대벌레는 정말 크기가 컸다.

그리곤 대벌레를 우리 자연에서도 한 번 본 적이 있는데..

정말 나뭇가지처럼 생겨 움직임을 포착하지 않았다면 지나칠 뻔 했다는~

 

책을 보다보니 대벌레처럼 풀밭에 사는 곤충의 대부분이 위급한 상황에서는 자기 다리를 뚝 떼어버리고 달아난다고 한다.

이거나 먹고 떨어지라는 것일까? ㅎㅎ

갑자기 도마뱀꼬리가 팍 생각난다.

살려고 다리하나를 희생하며 도망가는 모습을 상상하니 애잔하기도 하다.


우리땅 곤충 관찰기는 우리땅에서 볼 수 있는 약간은 특이한 곤충들도 실고 있다.

메뚜기도 그냥 메뚜기가 아니라 날개가 없는 한국민날개밑들이메뚜기

풀잎과 헷갈리는 줄베짱이(이 녀석은 참으로 아름답다)

장수하늘소가 아니라 새똥하늘소, 털두꺼비하늘소 등등

곤충에 대한 이야기와 더불어 사진자료까지 풍부하다.

 

삽화를 통한 설명도 재미있다.

그림으로 사람들의 생활처럼 곤충들의 생활을 표현했는데 유쾌하다고나 할까? 

 

그리고 곤충이 더 궁금해는 아이들이 궁금해할만한 것들을 주제로 삽화를 통해 설명해놓아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책 중간 중간에 정부희 선생님 모습이 그림으로 보여 꼭 선생님이랑 곤충 세계로 탐험을 다니는 기분이 든다.

 책 뒤에 있는 곤충카드

이건 잘 오려모아 핸드북으로 가지고 다니면 딱이겠다.

특히나 아이는 아빠와 캠핑갈 때 가져가겠다고 한다

우리땅에 사는 곤충들 만나러 가길 고대하며 빨리 날이 따뜻해지길 바래본다.

 

심심하던 차에 길벗스쿨의  한 권으로 끝내는 종이접기를 꺼내 곤충접기를 해본다.

메뚜기,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

 

접어 놓은 메뚜기를 보니 정부희선생님이 강원 오대산에 찾은 한국민날개밑들이메뚜기와 비슷하다..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