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봄.여름.가을.겨울 숲 유치원 ㅣ 봄.여름.가을.겨울 유치원 시리즈
한영식 지음, 류은형 그림 / 진선아이 / 2015년 9월
평점 :
요즘은 다양한 자연관찰책이 나와있지만 딱 한 권으로 유치 즉 누리과정 아이들이 들고 다니기에 적당한 책을 찾기 힘들다
어렵거나 생활과 동떨어진 곳에서 찾아야하는 동식물의 이야기를 담은 책들이 태반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진선아이에서 나온 숲 유치원은 딱 누리과정 아이들에게 맞는 숲 도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숲의 생물 생태에 대해 알려주기 때문이다.

진선아이의 숲 유치원은 도시숲 유치원, 마을숲 유치원, 산의 숲 유치원으로 나눠 숲에서 만나는 생물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안내한다.

도시숲, 마을숲, 산의 숲에서 계절별로 볼 수 있는 식물, 동물에 대해 다루고 있다.
가을의 도시숲에서 볼 수 있는 단풍을 주제로 예쁘게 물든 나뭇잎의 사진을 보며 종류와 특징을 알려준다.
옆 페이지에는 아이들과 할 수 있는 활동이 나온다.
단풍잎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이 있어 아파트 앞 뜰에서도 즐겁게 놀 수 있을 듯하다.
진선아이의 숲 유치원은 이렇듯 단순하게 설명만하고 마는 책이 아니라 아이들의 활동까지 유도하는 활동책이라고 보면 되겠다.
꼭 초등학교의 과학교과서 중 실험관찰책 느낌이라는~

가을 길을 걷다보면 나무에 달린 열매들도 많이 보이는데 어떤 열매들이 보이는지 사진자료가 함께
나와 아이들이 물어보면 대답해 줄 수 있을 듯 하다.
책이 두껍거나 무겁지 않아 공원으로 나갈 때 책을 지참해 공원을 거닐며 나무에 달린 열매를 보고 나무이름을 맞춰도 재미있겠다.

활동부분을 보면 사진자료로 비교하기외에도 쓰기나 그리기, 만들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배운 것을 복습할 수 있어 지루하지 않게 즐겁게
생물탐구를 할 수 있다.

누리과정의 아이들 대상의 책이므로 활동에 스티커가 들어있어 아이들 소근육발달에도 좋고 또
붙이는 재미도 쏠쏠할 듯 하다.

진선아이의 숲 유치원은 유치 누리과정에 어떻게 연계되는지 제목위에 쓰여져 있다.
자연탐구과정을 쓰기 그리기 만들기 등 다양한 예술 활동과 접합해 할 수 있는 통합활동책이라고 보면 되겠다.
아이들과 잠시의 외출도 자연관찰이나 탐구로 확장시킬 수 있는 책이다.
가을, 아이들과 나들이 하기에 딱인 계절..
풍성한 자연속에서 아이들의 호기심도 만족시키고 지식도 배양할 수 있는 책이 바로 진선아이의 숲 유치원이다.
아이들이 책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쓸 때도 잘 쓰여지는 도화지 재질의 책으로 나온 숲 유치원
직접 책을 사용하는 아이들을 배려함을 알 수 있다.
가을 뿐 아니라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내내 밖으로~ 나갈 때 꼭 챙겨야하는 책 숲 유치원
누리과정 아이들이 있는 집에는 하나씩 있어야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