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틸라 왕의 말을 훔친 아이
이반 레필라 지음, 정창 옮김 / 북폴리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아틸라 왕의 말을 훔친 아이라는 책은 내가 생각했던 것 보다 얇고 작은 책이다.

아이들용 동화같은 사이즈에 글자포인트도 크다.

표지에 그려진 아이들의 얼굴은 나무를 깍은 듯한 느낌이 든다.


책의 첫머리 세르히오에게 라는 말과 함께 써있는 마거릿 대처의 글과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글이 왜 나왔지?

라는 의문을 가지고 읽게 되었다.

대체 가난과 굶주림이 무엇을 의미하기에 그 글들이 서문에 있을까?


아무 사전지식없이 읽은 아틸라 왕의 말을 훔친 아이는 나에게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게 무슨 소설이람?

우물 속의 두 아이 이야기이다.

우물 속에 빠진 두 아이는 형제이고 그들은 거기서 나오고자 애를 쓴다.

그러나 우물벽은 아이들이 뭔가 잡고 나올 수 있는 부분도 없고 또 단단하지도 않았다.

형제는 그곳을 탈출하기 위해 살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동생이 가벼우니 형이 동생을 우물위로 던져올려보려 애쓰나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동생이 떨어져버린다.

죽진 않았지만 아직 때가 아닌것이다... 형은 나갈 계획을 세운다.

우물안에서 흙속에서 벌레나 구더기를 잡아먹으며 동생은 죽지 않을 만큼 야위게 자신은 체력을 단련한다.

어머니가 챙겨준 가방에 먹을 것이 있었지만 형은 그것에 손도 못대게 한다.

엄마꺼라며 동생이 먹고자 하면 형은 불이나게 화를 낸다.

동생은 먹지못해 죽음 직전까지 내몰리지만 그래도 그들은 그속에서 겨우겨우 생명을 연장하고 있다.

환청과 환각까지 느끼는 동생을 보며 마지막을 인지한 형은 결단을 내린다..

이제는 더이상 지체할 수 없고 동생을 밖으로 보내야할 때가 왔음을...그리고 그가 생각했던 계획을 그리고 집으로 가는 길을 동생이 잊지않게 알려준다.

그리고 다시한번 동생을 있는 힘껏 돌려 올려 우물밖으로 내보낸다.

밖으로 나온 동생은 집을 찾아간다 그리고 형이 말한 일을 실행하고 다시 우물로 돌아온다.


우울한 이야기이다.

마지막은 완전 반전...

처음에 엄마가 그들에게 준 가방에 든 음식은 형제에게는 마지막 음식이었던 것이다.

우물에 아이를 버린 엄마가 아이들이 우물속에서 먹을 음식..

그걸 형제는 먹지 않고 있다가 엄마를 사랑해서가 아니라 엄마를 죽이는데 마지막 엄마가 먹을 음식으로 썼던 것이다.


아틸라 왕의 말을 훔친 아이는 동생의 이야기에서 나온다.

자신을 왕의 말을 훔친 아이라고 하고 훔친 말 발굽으로 만든 신을 우물에 두 아들과 함께 파 묻었다고 말한다.

과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 책은 현대사회의 부조리를 풀어 놓은 책이라고 한다.

풍요속의 빈곤을~ 즉 형제를 버린 어머니는 국민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국민을 굶주리게 만든 무책임한 국가로~ 두 형제는 기존 사회질서나 체제를 전복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들고자하는 신인류로 말이다..

작가의 의도가 그러하다면 참 슬픈 현실을 빗댄 것은 아닌지..

어찌보면 국가의 수장이나 권력자에 외면당하는 지금 우리 대한민국의 현실이 우물에 빠진 두 형제의 상황이 아닐런지~

그런 생각도 해보게 된다.


무튼 읽고나니 더 심란한 잔혹동화 아틸라 왕의 말을 훔친 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