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통방통 우리 놀이 신통방통 우리나라 4
송윤섭 지음, 백명식 그림, 김숙경 감수 / 좋은책어린이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설 전에 아이와 읽은 책입니다.

신통방통 우리명절

신통방통 우리명절은 신통방통 우리나라 시리즈의 4번째 책입니다.

태극기, 독도, 한글에 이은 4번째 이야기

신통방통 우리명절은 한강돌 한강희 남매의 정월대보름 소원빌기에서 시작합니다.

약초팔러 장에 가신 아버지가 빨리 돌아오길 편찮으신 어머니가 낫길 바라며 정월대보름 달님에게 소원을 비네요.

그러다 전래놀이를 조사하며 다닌다는 한 선비를 만나지요.

선비와의 만남은 계속되고 선비는 제안을 합니다.

한양으로 돌아가는 길에 동행하며 아버지를 찾고 자신에게 전래놀이를 가르쳐주는 것이 어떤지

강돌이와 선비의 재미있는 동행과 그 동행길에 펼쳐지는 재미있는 전래놀이를 알려주는 이야기가 바로 신통방통 전래놀이랍니다.


신통방통 전래놀이는 저에게는 어린 시절의 향수를 석군에게는 잘 모르던 놀이의 유래와 놀이방법을 알게 되는 기회였습니다.

친구들과 동네에서 하던 비석치기

남자아이들이 하던 말타기

연을 만들어 연실에 유리가루를 입혀 연싸움을 하던 일 들이 제 머리속을 스쳐지나갑니다.

신통방통 우리놀이는 아이들에게 우리 전래놀이를 알려줍니다.

자세한 놀이 방법에서 유래까지~

백성들이 하던 놀이부터 양반가에서 하던 놀이까지.

요즘 아이들 인터넷게임 못지않게 재미있는 우리놀이 아이들과 함께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선비가 우리놀이를 후대에 알려주고자 책을 써서 남긴 것처럼 우리놀이가 후대에도 계속 명맥을 유지했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석군은 신통방통 우리놀이를 읽고 독후활동을 했습니다.

강돌이와 선비의 윷 결과를 보고 색연필 색을 달리해서 말이 간 곳을 체크하며 누가 이겼는지도 알아봤어요.

또한 어떤 놀이인지 설명을 듣고 알아맞추기도~

방학동안 못 본 친구들과 개학하면 만나 씨름을 하고 싶다는 석군

그래~ 몸으로 부딪히며 노는게 젤로 좋을 때지..

주체하지 못하는 힘, 시원하게 발산하길 바랄께...

아이들과 우리놀이에 대해 알아보는 귀중한 시간이 되었답니다.

나중에라도 친구들과 모이면 비석치기도 해보고 싶다고 하고(요즘은 돌맹이 구하기도 힘들지만..ㅠㅠ) 제기차기 고누도 해보고 싶다고 하네요.

아이들이 온라인 게임만 한다고 뭐라하지 말고 신통방통 우리놀이로 아이들을 온라인의 세계에서 잠시 멀어지게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