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동창생 - 열아홉, 소년의 약속
윤이경 지음, 김수영 각본, 오동진 인터뷰.글 / 북폴리오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빅뱅의 탑 주연의 영화라..

솔직히 연기자 최승현은 내 눈에는 지금까지 그닥 매력적이지 않았다.

그래서 영화 동창생을 찍었다 하길래 왜 이 배우를 기용을 하는 걸까? 뭔가 있나? 이런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가 주연으로 한 동창생은 과연 어떨까?

난 아직 영화를 보지 못했다. 영화를 보기 앞서 소설을 보기는 또 처음이다.

물론 원작을 바탕으로 한 영화나 드라마는 많이 봤지만 누군가는 영화나 드라마를 소설로 쓴 것은 그 맛을 못 살린다고..

또 다른 어떤이는 영화를 보기전에 소설을 보는 것을 비추하는 분도 있었다.

그러나 어떤 영화인지 궁금해 도착하자 마자 읽었는데..리뷰는 영화개봉후에 쓰게 되었다.. 이 또한 나의 게으름ㅠㅠ

 

제목이 동창생이고 부제가 열아홉 소년의 약속.

나는 솔직히 열아홉 소년의 약속이 더 제목으로 끌린다.

소설속 영화속 주인공 리 명훈은 간첩이 되고 싶어 된 소년이 아니다. 남에서 돌아오지 못한 아버지로 인해 반동분자로 몰리면서 수용소에 여동생과 함께 수감이 된다.

여동생을 구하기 위해 소년은 기술자가 되어야만 했다.

그리고 남파된 리 명훈, 그는 남에서 강 대호란 이름으로 낮에는 평범한 고등학생으로 밤에는 기술자로..

열아홉 그러나 아직 여린 감성이 남아있는 그로써는 그 일이 못내 힘겹다.

이 책을 보다보면 우리 주변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간첩임에도 위장을 하고 살까? 하는 생각을 하면 섬뜩하다.

언젠가 맨인블랙에서 위장하고 사는 외계인마냥.. 같은 동포임에도 그런 불신섞인 마음을 가지고 봐야한다니 것도 참 괴롭고...

저 사람은 과연 남한 사람일까? 북한 사람일까? 이런 생각자체를 하고 산다는 것이 머리 아픈 일임에 그냥 아무 생각없이 사는 것에 감사해야하나? 이런 생각도 해본다.

그러나 남북 분단이란 소재를 가지고 영화나 소설을 만든다는 것은 소재가 정말 매력적이 아닐 수 없다는 점이겠지만..

예전엔 외화를 봐도 소련과 미국의 이데올로기와 무력대결이었다면 요즘은 나쁜 일을 일으키는 장본인으로 북한이 등장한다는 것도 참 서글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여린 소년의 감성과 지령에 따라 적을 제거해야하는 임무를 가진 기술자로써의 고뇌를 과연 빅뱅의 탑은 어떻게 연기를 할까?

여동생 혜인과 더불어 남에서 만난 왕따당하는 혜인.

여동생의 얼굴이 겹쳐지면서 연민을 느끼는 감정, 그리고 마지막 혜인을 구하기 위해 또 여동생을 구하기 위해 사지로 뛰어드는 그의 모습~ 어떻게 영화화되었을지 궁금하다.

고뇌하는 소년의 모습을 과연 잘 나타내었을까?

소설로 본 그 느낌을 과연 영화에서는 받을 수 있을까? 문뜩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