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직 읽기만하는 바보 - 1323청춘들의 인생을 바꿔줄 ‘기적의 독서법’
김병완 지음 / 브레인스토어 / 2013년 9월
평점 :

제목부터 눈에 띄는 책 오직 읽기만 하는 바보.
혹 현세대의 청춘들을 가리키는 것은 아닌지?
언젠가부터 독서골든벨, 독서이력제 등이 생기면서 우리 사회는 다독을 권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책을 읽지 않는 1323세대들에게 책을 읽히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었을지도 모르지요. 그러나 다독의 열풍은 그리 좋은 방향으로 흐르지는 못한 듯 합니다.
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도 저자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또는 그 책에서 어떤 느낌을 받았는지 무엇을 알았는지 제대로 이야기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했으니까요.
물론 책을 안읽는 것보다는 많이 읽는 것이 좋겠지만 저자도 이야기하다시피 어떻게 읽느냐가 더 중요한 듯 합니다.

이 책에서는 다독보다는 독서법에 주안점을 두어 이야기합니다.
1323세대에 들어가는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저자는 자신의 경험과 우리보다 앞선 시대를 살았던 분들의 독서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물론 그분들의 독서법이 우리 자신에게 꼭 맞는 독서법은 아닐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분들처럼 우리도 읽어보다 보면 자신에게 맞는 독서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무엇이든 일단 모방에서부터 창조되는 것이니까요.
저자는 독서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이야기합니다.
독서습관보다 독서방법의 중요성
독서력
속독법은 독서력이 아니다
책은 꼭 끝까지 읽어야하는 것은 아니다
독서는 학원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다
독서는 기술이고 최고의 게임이고 놀이다
위인들은 공부의 신이 아니라 독서의 신이었다.
인생을 바꾸는 것은 독서의 기술이다.
서재보다 독서의 기술을 먼저 확보해라.
책에 등장하는 위인들의 독서법과 독서량에 대해 읽을 때는 역시라는 말 밖에 나오지가 않더라구요.
개개인뿐 아니라 세계의 명문가 역시 독서법을 통해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영국의 윈스턴 처칠, 미국의 케네디가, 조선의 율곡이이와 같은 학자들을 배출한 명문가들..
이들의 독서법에서 느낀 것은 끊임없이 쉼없이 읽어라, 그리고 실천하라는 것.. 책을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며 읽고 중요한 것은 메모하며 내 생각을 써내려가는 또다른 글쓰기를 하라는 것..그러다 보면 그속에서 새로운 무언가가 창조된다는 것.
독서를 통해 자신만의 제대로 된 독서법을 익히고 결국엔 책 속에서 제대로 된 보물을 만나게 된다는 것이지요.

저자가 1323청춘들에게 권하는 기적의 독서법은 노트 독서법/ 일기 독서법/ 토론 독서법/ 스마트 독서법/고래 독서법/초서 독서법/상상 독서법/ 우뇌 독서법/꿀벌 독서법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 독서법들이 가장 좋다는 것이 아니라 때에 따라서 또는 책에 따라서 이런 독서법을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책을 읽다보니 제게도 제대로 된 독서법이 없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러면서 아들아이도 떠오르더라구요.
나와는 다른 독서습관을 가진 아이에게 너무 나만의 방식을 고수하지 않았나 하는 반성을 하게 했어요.
아들아이에게도 이 책을 권해주고 싶어요.
읽고는 자신만의 제대로 된 독서의 기술, 독서법을 찾아 정말 책을 좋아하고 잘 읽고 이해하는 그런 사람이 되었음 하네요.
아마도 이 책이 삶에 있어 진정한 보물인 책, 그 속으로 인도하는 등불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제대로 된 독서법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권해주고 싶네요.
특히나 아들 또래의 청소년들에게 더더욱 필수로 말입니다.
많이 읽는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어떻게 읽느냐가 관건이라는 것! 잊지 맙시다...독서는 죽을 때까지 해야하는 것이란 것. 절대 독서는 공부가 아니란 것두요.
저자처럼 3년간 9천권의 책을 읽지는 못할 것이지만 꾸준히 나름의 다독을 하며 나만의 독서법을 제대로 된 독서법을 찾도록 노력은 해볼 것을 다짐하게 되네요. 그럼 아마도 책을 보는 눈도 달라지고 그러면서 내 삶도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