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소년 고전 독서클럽 - 교실 밖에서 만나는 새로운 책읽기
수경.최정옥.최태람 지음 / 청어람미디어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고전읽기라...
나에게 고전이란 어떤 의미였을까? 솔직히 중고등학교 시절을 거치며 읽었던 것은 세계명작이나 우리나라 소설등... 주로 교과서의 문학사에 나왔던 책들이 주로였던 것 같다.
그 시기엔 고전이라고 딱히 칭하는 책들도 없었던 것 같구(아님 내가 너무 몰랐던가...) 문고판 책들을 시작으로 무지막지하게 여러 책들을 읽었던 것 같다.
그러다 대학을 들어오면서 다양한 분야의 책읽기가 시작되었다.
그 시기즈음엔 꼭 읽어야하는 교양서를 잡다하게 읽었다. 유명하다 싶은 책들도 읽게 되었다. 그게 아마도 청소년 고전 독서클럽에서 이야기하는 고전들이었던 것 같다.

이 책은 십대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지금과는 다른 지평에서 삶을 들여다 보고 새로운 질문을 던지며 낯선 자신과 세계를 바라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한다. 세상을 이런 방식으로 봐야한다가 아니라 스스로가 질문하며 자신만의 새로운 시각으로 자기가 주체가 되어 삶도 공부도 책읽기도 사유도 새롭게 해보라고 한다. 그런 시각이나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이 바로 인문학, 고전이라는 것이다.
고전을 읽음으로써 그런 지식과 교양을 쌓게 된다는 의미리라..
책에서는 총 6장으로 나눠 십대들이 각각의 분야나 부분에서 읽어야할 고전을 소개한다.

1장 정치와 사회
2장 자본주의와 소비
3장 몸
4장 주체
5장 공동체와 관계
6장 공부
이 6개의 주제를 우리 사회의 여러 현상이나 사건과 연결하여 왜 그런 일들이 벌어지는지 그 저변에 깔린 사상이나 사회학적인 이유등을 설명하며 그것에 대한 스스로의 해결책이나 자신이 취할 수 있는 행동등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그런 상황에서 읽으면 좋을 고전과 지은이 그리고 배경지식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각 장의 처음에는 각 장에서 소개하는 책들을 지은이와 출판사, 출판년도까지 표시해 놓아 그대로 찾아 읽기만 하면 된다.



일례로 요즘 학교든 사회든 어디서든 우리 십대들에게 꿈을 찾으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 꿈을 좇아 현실을 극복해나가라고..
그러나 책에서는 현실을 직시하고 달콤한 말로 가린 현실과 직면할 때 진실로 꿈꿀 수 있음을 말한다. 그러면서 소개하는 책이 토마스 무어의 <유토피아>이다.
어디에도 없는 곳이란 뜻의 유토피아.. 이 유토피아는 전혀 다른 지평에서 현실을 투시한, 이상세계가 아닌 현실을 비추는 거울로 현실에 철저하게 절망한 자만이 현실 너머를 꿈꿀 수 있다고 한다.. 즉 현실을 제대로 보고 현실의 장애물을 극복해 나가며 현실을 직시한 자만이 꿈꿀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그외에 성형열풍을 꼬집으며 허준의 <동의보감>
스타와 오디션 열풍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 등을 소개하고 있다.
청소년 고전 독서클럽은 필자들이 2012년 경향신문에 연재했던 칼럼들은 손보고 다시 엮은 결과물이라한다.
그래서인지 다른 고전 소개책들과는 다른 전개방식을 띠고 있다.
주제별로 5권에서 7권의 책을 소개하며, 고전작품에 들어있는 내용, 줄거리를 이야기하기 보다는 주제와 적합한 부분을 일부 발췌해 소개하며 작품이나 작가에 대한 배경지식적인 설명을 많이 한다. 작품을 선택한 이유와 다양한 작품 밖의 이야기를 읽고 있노라면 읽어 봐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인문학 열풍이 부는 요즈음...
단순한 교양으로써 인문 고전을 읽는 것이 아니라 내가 사는 세계와 사회 그리고 나를 제대로 알기 위해 고전을 읽고 고전에서 작가가 의도하는 바를 정확히 알고 더 나은 삶을 살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지 않나 싶다.
청소년 고전 독서클럽에서 소개하는 고전... 솔직히 내가 봐도 어려운 책들이 많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현실과 가장 직면한 문제들과 연관된 주제에 대해 내가 보았던 책들도 이제는 내용이 가물가물한지라 아들아이와 시간이 되면 같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만나는 고전들은 또 어떻게 다가올지, 아들아이는 또 어떤 생각을 할지 서로가 서로의 의견을 나눠보는 시간도 되리란 생각을 해본다.
청소년들에게 고전을 현재에서 어떤 시각으로 봐야할지 어떤 고전을 봐야할지 소개해주는 책이 바로 청소년 고전 독서클럽이 아닌가 싶다.
청소년 고전 독서클럽 더 보기: http://cafe.naver.com/chungaram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