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비, 과학을 배우다 - 전통 과학으로 배우는 우리 역사 처음읽는 역사동화 5
세계로.이경민 지음, 최현묵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선비 시리즈는 역사동화를 통해 우리 역사를 알려줍니다.

5번째 시리즈 이선비 과학을 배우다.

이선비가 이번에는 과학을 배우러 어디로 갔을까요? 

임금님의 행차를 따라 수원엘 다녀오게 되네요.

수원에선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수원하니 짐작이 가시나요?

네~ 바로바로 수원화성이이야기입니다.

이 책에 나오는 임금님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정조대왕이시네요. 정학사님은 바로 다산 정약용선생이시구요.

정조대왕이 수원 화성을 건설하면서 거기에 사용된 건설 기계(건설과학)나 성을 지키고 적을 무찌르기 위해 설치한 여러가지 장치와 무기와 관련된 군사과학에 관련된 이야기가 나옵니다.


우리 역사속의 도시건설과 관련하여 옛조상들이 어떻게 성을 짓고 외세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어떤 무기나 방법을 사용했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해줍니다.

그 외에도 천문관측기구, 다양한 지도에 관해서도 나오네요.

보면 볼수록 신기한게 어떻게 옛날 사람들은 컴퓨터도 없이 저렇게 완벽한 기계를 만들 수 있을까?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다들  머리가 너무 좋으신가봐요.

 

이선비 과학을 배우다는 수원화성을 짓는 과정을 통해 이선비 세로와 혁이의 이야기로 우리 옛 사람들의 생활모습과 더불어 전통과학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지요.

또한 이선비 과학을 배우다는 교과 연계가 되는데요.

초등 사회 교과서 연계도서로 3-2, 5-1 사회교과와 연계되어있어 더 유익하네요.

 

아이들과 책을 읽고 수원화성과 남양주에 있는 다산유적지를 갔다오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아들은 미리 두 곳을 다 갔다온 상태라 좀 아쉽네요.

책 속의 옛날에는 어떻게~~~ 에 나오는 천문기구나 지도류, 그리고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거중기등... 과학기구모형을 저희는 다산 유적지의 실학박물관에서 다 봤거든요.

그리고 수원화성을 다녀옴으로써 우리의 과학기술로 만들어진 수원화성을 눈으로 직접 확인했구요.

정조대왕의 왕권강화를 위한 신도시 건설이었지만 그 속에는 수많은 과학기술이 집약된 결정체였다는게 수원화성의 의미가 아닐까 싶어요.

이렇게 한가지 문화유산에도 다양한 과학기술이 들어가 있는데 그냥 예쁘구나, 넓구나.. 그냥 정조대왕때 지었대. 거중기가 쓰였대 하는 것보다 거중기가 무엇인지? 왜 만들고 어떻게 만들었는지 알고 보면 보는 눈이 달라지는 것 같아요.

세로, 이선비와 함께 이선비 과학을 배우다를 읽고 방학동안 다산유적지와 수원화성을 둘러보시는 건 어떨런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