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자 전재규 남극의 별이 되다 ㅣ 세상을 바꾼 작은 씨앗 13
전신애 지음, 이상권 그림 / 청어람미디어 / 2013년 6월
평점 :
청어람 미디어의 세상을 바꾼 작은 씨앗 시리즈는 특별한 느낌이 든다.
아주 유명한 위인들의 이야기라기 보다는 우리 사회에 무언가 생각하겠금 또는 행동하겠금 뭔가 계기를 만들어 준 분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인 것 같다,
바뀌지 않을 것 같은 세상을 조금씩 변화하게 한 분들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개개인의 소중한 삶이 우리 사회의 변화의 씨앗이 된 것이다.

과학자 전재규 남극의 별이 되다
전재규의 짧은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어린 시절 영월에서 자란 그가 별을 좋아하고 어떤 아이였는지..
천문학자가 꿈이었던 소년이 어떻게 남극에 가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쓰여져있다.

울 꼬맹이도 이 책을 보고는 이런 일을 하는 과학자들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신기하다고 했다.
TV에서 보던 펭귄이나 살고 북극곰이 사는 그런 추운 남극이나 북극에서 어떻게 연구를 하고 생활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한다.
자기 같으면 너무 추워서 가기 싫을 것 같다고...
그리고 전재규님이 남극의 바다에서 죽는 장면을 읽고는 슬프다고 한다. 가족들은 더 슬펐을거라고..ㅜㅜ
아마도 그랬겠지... 특히나 부모님들은 오죽하셨을까? 죽지 않았다면 지금즈음 행성에 대한 지질를 연구하고 있지 않았을까?
읽다가 해양연구소 이야기가 나와서 깜짝 놀랐다.
우리 학교 대학원생들도 많이 해양연구소의 연구원으로 가 있었기에 그닥 낯설지가 않았다.
특히나 생물학과 후배는 전재규님을 알고 있었다. 한 번 봤다고 한다.
그녀는 지금의 직장에 가기 전에 해양연구소에 있으면서 2주간 알래스카로 북극관련 일로 출장을 간 일이 있었다.
우리는 모르는 것이 많아 그녀의 안전에 대해 염려스러웠지만 좋은 경험이 될 것이라고 잘 다녀오라고 했고 그녀가 거기서 겪은 일들은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면 좋은 추억이 되기도 했다.
배를 타고 나가 베링해에서 여러가지 실험도 하고 했던 이야기를 사진과 함께 들려줬던 것이 기억난다.
많은 것들이 부족하기에 다른 나라 과학기지에서 빌려 써야하는 것들도 많았고 연구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들을 수가 있었다.

극지연구는 항상 위험이 따른다. 그런 위험 속에서 일하시는 많은 과학자들과 여러 사람들..
그들에 대한 조명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결국엔 전도유망한 과학자 한 사람이 극지연구를 위해 남극에 갔다가 실종된 동료들을 살리기 위해 나간 수색길이 그의 마지막이 되어버린 것을 계기로 우리 사회는 우리나라가 얼마나 기초과학에 관심이 적고 극지연구에 소홀했던지를 알게 했다.
전재규님의 죽음을 계기로 우리는 극지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한 사람이라도 희생없이 이루어낸 일이라면 좋았으련만 하는 안타까움은 금할 길이 없다. 꼭 사고가 난 뒤에 사후약방문식으로의 처방.. 이제 쇄빙선도 있고 제2의 남극기지인 장보고기지도 완성된다고는 하지만 기초과학을 위한 투자는 정말 게을리하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과학자 전재규 남극의 별이 되다는 저학년 아이들도 읽기에 적당한 글자크기와 글밥의 책이다.
어렵지 않다. 젊은 과학도가 어떻게 자기꿈을 가지고 노력하였는지를 잘 알려주고 있다.
비록 죽음으로 인해 그의 꿈을 완성시키지는 못했지만 그의 죽음이 우리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고 갔는지는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일대기 뒤에는 극지연구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온다.
아이들이 알기 쉽게 극지방의 과학기지에 대한 설명과 기지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왜 설치되는지에 대해서도 쓰여져 있어 궁금증을 해소하기에 아주 그만이다.
앞으로 이 책을 읽고 많은 아이들이 기초과학을 하는 과학자를 꿈꾸길 기대해본다.
또한 이 아이들이 이 사회를 변화할 수 있는 작은 씨앗으로 자라나길 염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