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가, 욕망을 거세한 조선을 비웃다
임용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박제가, 욕망을 거세한 조선을 비웃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사실 역사학자가 아니기에 역사는 단지 교과서와 위인전 그리고 책들에서 읽어보고 듣고 공부한게 다지요. 그게 우리의 역사라고 오랜 시간의 흐름을 단지 책 몇 권으로  알려했다는 우를 범했네요.

거기다 사극까지 우리에게 잘못된 역사적 사실을 알게하는 오류를 범하게 합니다.

조선시대를 그린 사극에 주로 보면 어찌 그리 주막은 많은지..

그리고 죄다 이불을 덥고 자는지.. 등등.. 요즘보다 그리 풍요롭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사람사는 세상인데 어느 정도는 살았겠지 했지요.

특히나 양반님네들이야 말해 무엇하리~ 하며..

근데 이 책을 읽으면서 보니 그게 아니더군요.

특히나 지배자의 논리에서 보이는 조선사회의 폐쇄성은... 진짜 너무하다 싶을 정도입니다.

성리학의 출발인 중국에서도 그렇게까지 폐쇄적이지는 않는데... 이 책에서 여러가지 책 속에 들어난 정황적 증거로 알려주고 있는 조선사회는 생각했던 것보다 더 양반들에게는 우호적이고 사회자체가 지배자들을 위한 사회였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네요.

박제가가 살던 당시 조선은 청과 일본이 근대 문물을 받아들이며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흘러가던 것과는 달리 우매한 백성을 더 우민화시켜 지배자들의 말을 잘 듣는 가난한 조선으로 만드는 것에 일조했음을 너무나도 여실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꼭 지금의 북한과 같다는 생각이 팍~ 들었어요.. 욕망을 가지지 못하게 하면서 그저 말 잘듣는 노예로의 삶을 살게하는 것.. 너무 섬뜩하더라구요..

그런 세상에 천재에 괴짜 인물이 거기다 성정이 또 한 욱하는 박제가니 그의 말이 제대로 전달될 일이 없었겠지요..

지금도 그가 쓴 <북학의>의 내용은 과격하다고 합니다. 그 당시 폐쇄적이며 지배논리에 입각한 관료들이 보기엔 얼마나 하찮은 논리로 말도 안된다고 생각했을까요.. 국수주의에 빠진 인물들이라면 더더욱... 박제가가 미친 사람으로 보였겠지요.

서얼이면서도 그래도 중앙정계에 진출을 해보고 관직을 받아봤지만 그 삶도 힘들어했던 인물..

그래도 옆에 청에 그를 이해해주고 그의 능력을 알아주는 이들이 많았음에 그는 다른 의미로 운이 좋았던 사내가 아닐런지..

그의 사상이 지금에 와서도 인정을 못받는 부분이 있다지만 그 당시에 상공업을 일으켜 세워 부국으로 발돋움해야하며 백성이 잘사는 나라가 되어야한다는 주장을 했다는 사실하나만으로도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박제가가 조금만 더 진중한 성격의 인물이었더라면... 그가 서얼만 아니었더라면 (근데 서얼이 아니었음 그렇게 정확하게 조선사회의 잘못됨을 꼬집을 수 있었을까 또 의문이지만...)정조가 좀더 오래 살았더라면... 하는 생각을 또 해봅니다.

그리고 책을 통해 당시의 조선시대상이나 그 보다 더 이전의 조선의 삶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된 기회가 되었습니다.

역사와 경제에 대해 쉽게 이해하게 쓴 <박제가, 욕망을 거세한 조선을 비웃다> 이 책을 통해 조선 중후기 실학자들의 한 부분을 제대로 알게 되었네요.

그냥 <북학의>를 쓴 북학파 박제가라는 교과서 속 인물이 아니라 제대로 인물 박제가에 대해 다각도로 알게 되어 너무 좋았어요.

그리고 당시의 조선사회의 일반 백성들의 삶과 양반네들의 생활상까지~ 이렇게 알기가 참 어려운데 여러 문헌을 통해 드러난 글들을 해석해주시니 그랬구나.. 이런 오류들이 있었구나 하며 역사를 제대로 보게 되네요.

조선사회의 본질적 한계를 발견하고 사회전체의 환골탈퇴를 추구한 박제가.

선진국의 문물중 우리사회에 필요한 것들을 잘 받아들여 활용하자고 주장하지만 그의 거칠고 정면돌파적인 우리사회의 비판은 폐쇄적인 조선사회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네요..

그의 주장중에 간장, 된장 공장의 설립 주장은 참으로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그 당시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었을까? 싶어요.

거기에다 소비 촉진이 경제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라는 주장도..

무튼 이 책을 통해 박제가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된 것은 물론 그로 인해 조선사회의 여러 면모를 다시금 알게 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