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만화로 읽다 - 학교, 미술관에서도 알려주지 않는 진짜 미술 이야기
장우진 지음 / 북폴리오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미술하면 흔히 어렵다고들 합니다.

저도 솔직히 어려워요~

작품이 사실적일 때는 감상하기가 편하지만 추상적일 때는 특히나 더 힘듭니다.

그림을 그리거나 무엇을 만드는 것은 좋아하는 저이지만 미술사나 미술을 깊이있게 알지는 못합니다.

그래서 미술의 전반적인 것들에 대해 좀더 쉽게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이 책을 접하게 되었네요.

미술, 만화로 읽다..ㅎㅎ 그렇다고 다 만화는 아니구요..

딱딱할 수 있는 미술의 개념을 만화와 더불어 잘 이해하도록 지루하지 않게 엮어 놓았습니다.

미술의 정의

미술에서 사용되는 기법

미술의 장르

미술을 넘어서 예술에 대하여..등등

이런 이야기를 5장에 걸쳐 풀어놓고 있네요.

 

다양한 작품을 사진으로도 실고 작가가 그림으로도 나타내서 ㅎㅎ 작품을 보는 재미 또한 쏠쏠합니다.

미술을 이루는 세가지에서는 작가와 작품 뿐 아니라 감상자의 위치를 중요하게 보고 있는데 이 감상자가 우리들처럼 평범하게 작품을 감상하는 일만 할 수도 있고 다른 측면으로 작가를 독려하거나 후원하는 후원자가 될 수도 있고 또한 비평가, 수집가 등 다양하게 활동하면서 대중과 예술을 잇는 가교역할도 할 수 있네요.

감상자하면 단순하게 작품을 보는 이로만 생각했는데 .... 작가 이외의 사람들은 다 감상자이며 그들로 인해 어쩌면 미술이나 예술이 더 발전해 나가는 것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미술사적인 이야기 뿐 아니라 미술 전반적인 이야기로 시작하여 나중에는 미술의 영역을 넘어서는 예술까지도 섭렵하게 하는 책입니다.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개념이나 용어는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첨부하여 설명하고 있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냥 편하게 자리에 앉아서  이렇게 많은 작품을 감상하기는 첨인 듯 하네요.

미술 전시회를 가거나 미술관, 박물관을 가게되면 도슨트의 설명을 듣고 작품을 더 잘 이해하는 것도 좋지만 그냥 작품 그대로를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 들어요.

아는 만큼 보이기도 하지만 아는게 병이라는 말~ 참 와닿아요..

전시회장에 도슨트의 말을 들으며 따라 이동하다보면 작품을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해부하고 있을 때가 더 많거든요..

과연 작가가 도슨트이 말한 의도대로 그 많은 것을 생각하며 그것을 작품에 그려넣었을까?

솔직히 그랬을 것 같지는 않거든요.. 그냥 현대인들이 작품을 보다보니 그 당시 시대적 상황에 맞게 해석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구요.

그래도 작품을 보면서 다양한 역사적 사실이나 에피소드를 알게 되는 일은 참 즐거운 일인거 같습니다.

그 의미에서 아는 만큼 보인다는 건 합당하구요.

무튼 이 책은 다양한 작품을 볼 수 있는 눈을 만들어 주는 책이 아닌가 싶어요.

쉬운 미술 이론부터 시작하여 미술사 그리고 현대미술과 예술분야까지 깊게는 아니더라도 일반인들이 교양을 쌓을 수준으로 전체적으로 다 건드려주는 책이네요.

가볍되 너무 가볍지 아니하고 무겁되 너무 무겁지 않게~

적당선에서 대중에게 미술에 대해 설명하는 책입니다.

책의 거의 끝트머리에 있는 미술사연표까지..

책을 보면서 실제 봤던 작품이 보이면 더 흥미롭게 쳐다보게 되고..

아이의 미술시험과 겹쳐 나오는 부분은 아이에게도 보게 했네요.

아마도 이 책은 두고두고 보고 싶을 때마다 볼 책인거 같아요.

작가의 말중에서 '작가의 눈으로 사물을 보고 작가와 교감하는 멋진 순간을 맛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라는 말을 깊이 새기며...

작가와 교감하는 그 순간이 저에게도 오길 바라보아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