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지음, 김지원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잘못은 우리별에 있어를 보면서 최근에 개봉했던 영와 네버엔딩스토리가 문뜩 떠오름은...

그 영화와 이 소설은 많이 다르지만 왠지 소재는 비슷한 듯 하여...ㅎㅎ

 

주인공 헤이즐의 입장에서 쓴 1인칭 소설..

그녀는 갑상선 암 환자였지만 폐로도 암이 전이되어 언제 죽을지 모른다.

항상 산소탱크를 갖고 다녀야하는 소녀... 고등학교는 다니다 건너뛰고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소녀..

그런 그녀 앞에 어느날 서포트 그룹에서 멋진 소년을 만난다..

웃는 모습이 멋지고 당당한 소년 어거스터스..

그는 골육종으로 다리하나를 잃었지만 유쾌하고 멋진 소년이었다.

그가 그녀에게 반한 것이 예전 여자친구와 너무 닮음을 안 헤이즐은 괜시리 화가 나지만.. 나중에 어거스터스에게서 그녀의 이야기를 듣는다..

왜 사람들은 죽고 나면 다 멋지게 살다간 사람으로 애도할까?

그것이 죽은 이에 대한  예의일까? 그녀는 그런 것들이 싫다...

어거스터스보다 자신이 먼저 죽을 것 같이 생각하던 그녀가..

어거스터스와 엄마와 함께 암스테르담에 <장엄한 고뇌>의 작가를 찾아가나 자신이 생각했던 작가의 모습이 아님에 실망한다.

하지만 둘만의 사랑이 깊어진 여행.. 그 여행뒤에 그는 어거스터스가 자신보다 먼저 죽을수도 있음을 알게 된다..

그들의 장님이 된 친구 아이작..

주인공 아이들이 다 암환자들이어서.....

내가 암환자이지도 암환자의 가족이지도 않아 많이 많이 그들의 힘듦이 애잔함이 깊게 맘에 와닿지는 않는다..

나중에 어거스터스가 죽기 전에 <장엄한 고뇌>의 작가 반 호텐에게 헤이즐의 추모사를 부탁하는 편지를 보내고 그 편지를 헤이즐이 보면서 끝이 나는데...

죽어가면서도 사랑하는 여인의 위해 그녀가 술퍼할까봐... 추모사를 준비해 부탁하는 그마음은 참....뭐라 표현할 수가 없다.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가 왜 제목일까?

본문 중에 세익스피어의 편지가 나오면서 -친애하는 브르투스여, 잘못은 우리 별에 있는 것이 아닐세. 우리 자신에게 있다네 p120 그러나 이것이  틀려도 아주 틀린 말이라고 벤 호텐은 어거스터스에게 보내는 편지에 썼다..

여기서 틀렸다의 의미로 반대로 잘못은 우리 별에 있다 라고 한 건 아닌지..

우리 별에도 잘못은 많다.....수없이 많다... 그 많은 환자들이 자신이 암에 걸리고 싶어 걸리는 것도 아니고 죽고 싶어 죽음을 맞이 하는 것도 아니니라...

책에 나오는 암환우들은 그래도 그들의 삶을 덤덤하게 받아들이면서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해 사는 것을 본다..

헤이즐이 자신이 죽은 뒤 부모님이 자신을 그리워하다 허망하게 살까봐 걱정하다 엄마가 공부를 하는 것을 알고 기뻐하는 모습은 아마도 부모를 걱정하는 자녀로써.....

자신의 부재로 인해 가족의 해체가 올까봐~ 걱정하는 것이 당연하게도 느껴진다..

고달픈 환자 가족들의 삶과.. 그것을 지켜보는 환자 자신의 모습이 헤이즐과 어거스터스의 이야기로 잘 전해지는 듯 하다.

마지막까지 헤이즐의 죽음은 언급되지 않고 끝이 나지만 이 글을 읽으면서 단지 암환자인 소년과 소녀의 사랑이야기라기보다는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우리들의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가족이란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있을 때는 잘 모르고 건강할 때는 잘 모르는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 가족이나 주변의 사람들에게 있을 때 잘해야 겟다는 생각을 들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