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티 입은 늑대 4 - 난 게으름뱅이가 아니야 팬티 입은 늑대 4
윌프리드 루파노 지음, 마야나 이토이즈 그림, 김보희 옮김, 폴 코에 도움글 / 키위북스(어린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팬티입은 늑대4 서펑>

그림책을 읽으며 같은 제목 시리즈가 4편까지 나오는것이 많지 않다. 그래서 팬티입은 늑대 4라고 하면 팬티입은 늑대 1,2,3이 있었다는 의미라 더 기대가 되었다.

아이들에게 늑대와 팬티는 어떤 의미일까?

먼저 늑대는 아이들에게 이야기 속에서 누군가를 괴롭히는 무시무시한 힘을 가진존재로 등장한다. 7마리 아기 염소, 아기돼지 3형제, 빨간 망또 소녀 등등의 이야기에서 늑대는 주인공들을 위협하는 존재로 나온다. 아이들에게 늑대는 작고 약한 나에 비해서 힘을 가진 존재, 위협이 되는 존재로 비추어질 것이다.

팬티는 아이들이 스스로 용변을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로 자립의 첫 번째 단계를 무사히 성취해 내었음을 이야기 한다. 아이를 키워본 사람이라면 기저귀를 떼고 용변을 스스로 가리기시작하는 아이들이 처음 팬티를 입던 날, 아이가 얼마나 뿌듯한 표정을 짓는지 기억할 것이다. 팬티란 내가 스스로 무언가를 독립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까 하는생각을해 보았다.

그렇다면 왜 늑대와 팬티인가?
스스로 걷고, 먹고, 용변을 가릴 수 있게 되었다. 태어나 부모에게 완전히 의지만 하던 아이가 걸음마를 시작하고, 혼자 밥을 먹을 수 있게 되고 드디어 기저귀에서 팬티로 한 단계 진화(?)하게 된다. 이것은 아이가 성장하며 부모로부터 한 걸음정도 독립하기 시작되었다는 것을의미한다. 부모와 떨어질 수 있게 되면서 자유를 느끼기도 하지만 반대로 부모의 보호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늑재와 팬티는 아이들 성장 과정에서 느끼는 성장과 분리,개별화 과정에서 느끼는 뿌듯함과 두려움의 복합된 감정을 그렸는지도 모르겠다.

팬티를 입은 늑대... 제목을 보고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난 새로운 캐릭터가 등장할 것이겠구나... 예상되었다. 예상과 같이 팬티입은 늑대는,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 일하는 것이 무엇인지 등등 기존 우리 사회에서 요구하는 생각들을 조금씩 비틀어 이야기하고 '뭐 어때?'하고 반문하는 것 같다. 전체적인 형식이 그림책이라기 보다 만화에 더 가깝게 그려졌다.

그림이 큰 화면에 구체적으로 꽉차게 그려져 있어 책을 읽으며 그림의 각 부분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상상하고 글쓰기를 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은 유아들 보다는 오히려 초등학교 3학년 이상 학생들이 읽고, 토론 주제를 찾아 토론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활용 가능할 것 같다는생각이 든다.
어른들의 말을 무조건 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why?'를 생각해 보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