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사 우울증 - 행복한 출근을 위한 직장인 심리 카운슬링
아라이 치아키 지음, 정정일 옮김, 하지현 해설 / 이매진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직장인들에게 어김없이 발발하는 '월요병'이라는게 있다. 금요일 오후엔 별다른 약속이나 좋은 일이 없는데도 괜히 기분이 들뜨는것과 정반대의 상태라고 설명하면 될 듯 싶다. 난 일요일 저녁에 '개그콘서트'를 보면서 조금씩 우울해지는데 개그때문에 웃다가도 '내일 출근해야 하는구나, 시간이 안갔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특히 업무를 다 마무리짓지 못하고 금요일에 퇴근을 할 때가 있는데 그때는 좋다가도 월요일날 밀린 업무를 처리할 생각을 하면 머리가 지끈거리기 시작한다. 그래도 나만 그런게 아니라고 생각하며 위안을 얻으려고는 하지만, 가끔은 묻고 싶다. 회사 일을 즐겁게 하는 사람이 정말 있을까요?
저자는 이를 '회사 우울증'으로 명명하고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한다. 개인 우울증이 아니라 회사 우을증 이라는 말이 생소하지만 왜 이렇게 와 닿는건지 모르겠다. 이 책의 저자와 사례가 일본인들 이지만 같은 직장인이고 우리나라와 업무 구조가 비슷하기 때문인지 동질감을 많이 느꼈다. 한국과 일본은 서양에 비해 경직된 기업구조를 가지고 있고 자유로운 의견 교환이 어렵기 때문에(많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마음의 병을 앓고있는 직장인들이 많은 것 같다. 개인보다는 조직을 우선시하는 풍토와 더이상 종신직장이 없고 언제 잘릴지 모른다는 불안감, 비정규직과 적성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래서 우울증에 걸리는 회사원들이 많은 것 같다. 이 책을 읽기전까진 '회사 우울증'이라는 것에 대해 전혀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말이다. 요즘 사회적으로 우울증에 대한 경각심과 관심이 많이 생기고는 있지만 직장인들의 '회사우울증'은 화두가 되지 못했다. 일은 어렵고 힘든게 당연하고 스트레스는 술로 풀거나 각자 알아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인의 문제이기 때문에 회사가 나서야 할 필요성조차 제기되지 못했다.
회사 직원들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사인 산업의인 아라이 치아키씨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직원과 상사들을 인터뷰 하면서 '회사 우울증'에 걸린 직장인들이 많다는것을 알게됐다. 대부분의 회사는 복지에는 신경을 쓰지만 직원들의 정신건강에까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진 않기 때문에 관심 이외의 문제였고 그래서 더 많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나 조차도 이 책을 읽기전까진 그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했고 모두 다 그러려니 하며 살았기 때문이다. 회사 우울증이 자칫 위험한 결과를 낳을거라고는 생각지 못했고, 그저 개인의 일이라 여겼다. 하지만 업무가 주는 스트레스와 우울증 이라면 반드시 회사가 알고 치료해줘야 하지 않을까 싶다.
회사 우울증의 원인은 다양했는데 대화가 없는 분위기, 몸이 망가질 정도로 과도한 업무, 열악한 노동 환경 등이 있었다. 비효율적인 업무 처리 방식과 부당한 대우등도 많은 직장인들을 퇴사하게 만들거나 다른 회사로 옮기게 한다. 직장 일을 하면서 느끼는건 불필요한 관행들이 참 많다는 것이다. 오히려 일을 함에 있어서 걸림돌이 되거나 직원간의 의사소통이 원활이 안돼 오해가 생기기도 하는데 다들 문제점을 알고있으면서도 없애거나 고치지 않는다. 결국 불신감만 깊어지고 감정만 상하게 되는 일이 비일비재해 지면서 그로 인한 스트레스는 온전히 직원들의 몫이 된다. 이렇게 되면 회사 가는게 즐겁지 않고 마음 붙이기는 쉽지 않아 또 그만두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된다.
직장인의 70%이상이 회사 우울증을 겪고있다면 더이상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봐서는 안된다.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직원들의 정신건강에 참여해야 한다. 몸이 다쳐야만 산재가 아니라 우울증도 회사가 책임져야 할 문제로 인식한다면 직원은 회사를 믿을수 있고 일에서도 능률을 보이게 될 것이다. 과도한 업무가 한 생명을 앗아갈수도 있음을 깨닫고, 우울증 치료가 나쁜게 아님을 인식시키며 적극적인 자세로 임한다면 날로 높아져가는 회사우울증에 걸린 직장인들의 고통이 차츰 나아지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