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난의 문법 - 2020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소준철 지음 / 푸른숲 / 2020년 11월
평점 :
가난이라고 하면 어떤 생각이 떠오를까? 배고픔, 헐벗음, 노숙자, 허름한 집, 돈의 허덕임 등등 자신의 만의 생각이 있을 것이다. 푸른숲에서 나온 [가난의 문법]이라는 책은 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지만, 크게 생각을 해보지 않고 있는 이들의 이야기들이다. 하지만 꼭 생각해 보아야하는 소득의 하위단계에서 어렵게 살아가는 분들을 이야기하는 책이었다.
이번책을 통해 우리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폐휴지를 줍는 노인들의 경우 제도권 밖에서의 어려운 현실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었다. 길거리의 폐휴지를 걷어가시는 이분들의 행위가 상점 주인에게는 재활용품을 가져가 주기에 도움이 될수도 있지만, 그들의 생활 자체는 개선되지 않는 현실은 그들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의 연속이다. 그들의 힘든 하루의 일과를 들여다 보면서 고단한 삶을 알 수 있지만 그들의 짊의 무게보다 턱없이 적은 액수로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 대한 현실을 들여다 보면 그닥 녹녹치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거기다가 폐휴지를 줍는 노인들의 경우 교통사고, 묻지마 폭행 등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런 분들이 아니여도, 우리나라의 노인의 현실은 그리 녹녹치 않다고 한다. 노인이 되었다고 하면 경로당에서 친분이 있는 사람들과 담소를 나누며 지내는 것을 많이 생각할 수 있지만, 지금의 경로당은 공공작업장으로 변하여 쇼핑백 제조, 상품 포장 및 배달, 취약가구 무료 세탁, 먹거리 제조 및 포장과 같은 일들을 하기도 한다고 한다. 예전의 경로당이 모여서 화투를 치는 곳으로 변질되다보니 이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으로의 변화를 주었다고 하니 어떤 면에서는 나쁘지는 않지만, 나이가 들어서도 쉼없는 노동을 해야한다는 현실이 반영되는 듯 하다.
누구에게나 젊음이 있듯이, 결국 나이를 먹고 늙음이 오는 시기는 있다. 거기다가 평균 수명이 늘어가고 있는 요즘, 노인으로서의 시간이 늘어가고 있음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2000년 이후 시작된 국민기초생활제도라는 제도도 있지만 막상 지원을 받으려면, 자신이 소득과 재산이 기준 이하여야 하기에 받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어떤 경우는 방법을 몰라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제도권 사회복지서비스를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에대한 보완도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국가가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지원을 통한 복지라는 것은 어느 사회나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보통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의 노후의 미래도 그리 밝지 않는 현실에서 우리가 준비해야 하는 것은 무엇이며, 보편적인 복지는 아니더라도 좀더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 빈곤으로부터의 악순환을 벗어날 수 있는 현실적인 변화가 필요한 것은 아닌지 생각이 드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