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을 불러낸 사람들 - 플라톤에서 몬드리안까지 안그라픽스 V 시리즈 1
문은배 지음 / 안그라픽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매일 보고 있는 색에 대한 것들. 너무 당연히 보았기에 한번도 궁금함 없이 살았는데 이번 책을 보면서 고대 시대부터 철학자, 문학가, 예술가, 과학자들은 우리가 색이라고 부르는 것들에 대해 과학적 입증과 색의 보색의 관계를 입증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이책은 크게 두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과학에서 색을 불러내 사람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색에대한 탐구를 끊임없이 해왔다는 것이다. 플라톤의 경우는 인간 중심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기에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와 학문적 다툼을 많이 했다는 일화가 나온다. 그중 색에 대한 부분도 플라톤은 물질에 색따위는 없고 오로지 인간이 스스로 색을 인식할 뿐이다'라고 보았지만, 그의 제자인  아리스토 텔레스는 물질에 빛을 비추면 자기 색이 드러난다는 서로 다른 생각으로 부딪혔다니 고 한다.

 

 이후 시간이 흘러 과학자 뉴턴에 의해 프리즘을 통해 빛은 7가지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리고 색상환을 만들어내게 되었다고한다.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백색광은 여러 빛이 합해져서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그리고 철학자 괴테의 경우는 문학가이자 색채 연구가로서의 업적도 남겼다는 것을 책을 통해 알게되었습니다. ‘색채 심리라는 지금도 조금은 생소할 수 있는 분야의 대가여서 보색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하였다고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빨,, 파는 삼원색으로 초록, 보라, 주황의 짝을 이루며 존재한다는 것을 과학적 분석도구도 없이 경험과 추측만으로 만들어낸 그를 보며 정말 놀랍다는 생각을 하게되는 부분이었다.

 

두 번째로 색에 의미를 부여한 사람들 편은 화가들에 대한 색에 대한 생각이다.

황금색은 황제의 색이었고, 화려함과 신성함을 나타낸다고 동서양이 똑같이 생각 했다고한다. 이는 오랜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세상의 가치로의 황금, 그 변치않는 금빛의 아우라를 예전부터 가장 화려하고 성스럽게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황금이 많이 쓰였던 비잔틴 예술의 경우는 금이라는 물질이 부드럽기에 두드려 얇은 금종이를 만들어 적은 황금으로도 제단과 성당을 수놓았고 하니 예술로 인한 금박 세공의 발달을 함께 가져온 것이다.

 

하지만 금보다 더 비쌌던 색은 르네상스시대의 '울트라마린블루'였다고 한다. 이는 지금의 가치로 환산했을때 1킬로그램에 1500만원이나 줘야 했다고 한다. 따라서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들은 환한 하늘이 없이 칙칙한 색채의 일변도인 것은 이러한 이유였다니 화려하게만 느꼈던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들의 고충을 알게된 듯 하다.

 

이 책을 통해 시대에 따라 색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색채학이라는 나에게는 다소 생소한 학문에 대해 알게 되어 재미있었다. 또한 가우디가 미완으로 만들고 간 스페인에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을 꼭 가보고 싶은 나에게, 이 책을 읽으며 알타미라 박물관도 꼭 한번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안타까운 것은 너무 많은 방문객으로 인해 1977년 일반인이 출입이 금지되었다는 것이다. 그곳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복제 동굴이지만, 2010년 부터는 신청자중 하루 5명 무작위 추첨으로 약 30분 정도 방염복을 입고 관람할 수 있다니 그곳을 여행하게 된다면 도전해 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