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그릇 1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08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이병진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마쓰모토 세이초는 일본 사회파 추리소설의 거장으로 불린다. 그는 일본 사소설과 구분되는 사회파 소설이라는 새로운 작품세계를 열었다. 미야베 미유키의 작품도 그 원류를 찾아가면 마쓰모토 세이초가 자리한다.

1권에서는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등장인물들의 특성 등이 소개된다. 이 작품이 발표된 연도를 보지 않고 책을 읽어나갔는데, 당혹스러웠다. 얼굴이 뭉개진 시신이 발견되었는데 신원 파악조차 할 수 없다는 설정 때문이다. 지문 확인조차 할 수 없는 시대라는 것에 익숙해지면 디지털 증거가 남지 않았던 시대의 수사 과정을 따라가게 된다.

답보상태에서 수사팀은 해체되지만, 이마니시 개인만이 비공식적 수사를 계속한다. 그는 피해자와 함께 있던 남성이 지역 사투리를 썼다는 목격자들의 증언 하나를 갖고 혼자만의 수사를 한다. 그러기 위해 인명인지 지명인지, 그 사투리를 쓰는 지역은 어디인지, 일본의 방언연구 학자를 찾기까지 한다.

한 사람의 끈질긴 노력, 다소 작위적이더라도 주요 인물을 인식하고, 자연사 같아 보이는 죽음이 발생하는 것이 1권의 주요 내용이다.

이마니시의 수사를 지켜보면 소설의 느린 진행 속도에 조바심이 난다. 하지만, 희생자에게 관심을 갖는 한 사람의 경찰이 결국 사건의 전말을 밝혀낸다는 데서 지지하게 된다. 디지털 증거가 넘치는 지금 이 시대에는 CCTV 증거가 없어서 수사가 멈췄다는 경찰의 무책임한 말을 듣는 것이 일상이 돼버렸기 때문이다.

끼리끼리 모여서 새 시대의 예술을 선도한다는 누보클럽 멤버들은 조소를 자아낸다. 그것이 작가가 갖고 있던 소위 진보적 예술인에 대한 시각이었으리라 생각한다. 시대에 따라 명칭만 달라질 뿐, 이런 누보클럽류의 사람들은 어느 시대에나 등장한다. 동시대인과 공감하고 교유하기보다 세력과 파를 형성하고 자신들이 문화예술을 선도한다는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자뻑에 취한다.

남자에게 순종적인 술집 아가씨, 내연녀에 머물고 마는 극단 여성 사무원 등이 등장한다. 이들을 보면서는 그녀들이 왜 그 남자를 사랑하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사회파 소설의 거장이라 추앙받더라도 여성 캐릭터들은 매우 납작하고, 그들 행동의 이유는 납득하기 어렵다. 그 시대가 갖는 한계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1권에 대한 감상은 진행이 느려서 조바심 나지만, 2권을 읽으려면 읽지 않을 수 없다는 것.

2권은 1권에 비해 실마리가 드러나서 읽기 수월하다. 여전히 아날로그 시대의 수사기법은 흥미롭다. 나쁜 짓을 저지른 놈들의 목소리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피해자의 마지막 행적들과 이를 수사해 나간 3자의 시선에서 보는 사건의 전모가 꽤 객관적으로 보인다.

스포일러지만, 초음파 살인이라는 방식은 정말 신선했다. 그 어느 이야기에서도 보지 못했던 방식이기 때문인데, 그런 점에서도 작가가 얼마나 머리를 썼고 얼마나 공부하고 조사했는지가 보여 존경심이 우러났다.

사회파 소설의 거장이라는 수식어를 부여받았지만, 작가는 소설에서 단 한 번도 직접적으로 사회를 비판하지 않았다. 그저 상황으로 보여주었고, 범행동기도 한센병 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두려웠을 것이라고 아주 짧게 서술하고 지나간다. 그 담백한 관찰과 통찰, 작가의 목소리를 직접적으로 개입시키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알아먹게 쓴 내용이 굉장히 세련되게 느껴졌다.

2권에서도 불편했던 점이 있다면, 오사카 대공습의 언급에서였다. 작가는 정규교육을 받지 않았고, 혼자만의 독서를 통해 자질을 키우고 혼자만의 습득으로 작품을 써왔다. 1909년생으로 프롤레타리아 계급, 학교에 가지 못하고 공장에 다녀야만 했던 시절에 대한 상처 등을 가졌다.

그는 2권에서 미국이 조금 더 기다리지 않고 대공습을 했던 것을 비판적으로 언급했다. 반전주의자로써 그 어떤 적대적 폭력적 행위를 반대하지만, 일본인이 2차대전 시기의 공격을 비판하는 것은 늘 어이없어 보인다. 커트 보네거트가 드레스덴 대공습을 비판하는 것과는 다른 결로 받아들여진다. 일본인들이 패전과 폭격으로 인한 상처를 언급하려면 그들이 저지른 만행에 대한 반성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여하튼, 아날로그 시대의 수사를 따라가는 색다른 경험, 모든 경찰이 포기해도 단 한 명의 경찰이 포기하지 않으면 사건을 해결하고야 마는 집념을 보는 재미가 있었다.

한편 오사카 공습으로 모두 파기된 호적부를 끝내 다시 만들어내고야 만 행정에 대해서는 혀를 내두르게 된다. 어느 시대, 어느 문화든 국가는 국민의 존재를 알려 하고, 통제하려 하는구나. 주민번호와 여타의 정보를 통해 어느 개인도 국가의 시선에서 벗어날 수 없으리라는 정보사회가 새삼 두려웠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는 예전에 읽었던 <인간의 증명>이 떠올랐다. 그 작품 역시 수사하고 사건의 전말을 밝혀내는 이야기였지만 귀한 존재를 지켜주고자 하는 인간의 마음에 자리한 인간성, 따뜻함, 배려, 사랑 등을 결말에서 느낄 수 있었다. 반면, 이 작품에서는 인간이 가진 이기심, 편견, 사회적 시선 때문에 작아지고 마는 개인 등 인간의 어두운 면을 보게 된다.

작가의 이야기하는 방식이 세련되었던 소설.

인간의 악한 본성을 스멀스멀 나타내면서 간담을 서늘하게 만드는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