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는 착각 - 뇌는 어떻게 인간의 정체성을 발명하는가
그레고리 번스 지음, 홍우진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도 나를 모르겠어'라는 말을 하곤 한다. 우리는 과연 어떻게 '나'를 인식할까. 학창시절 주관식 시험처럼,

'나'에 대해서 기술하시오란 문제를 접했을때, 우리는 어떻게 그 대상을 특정화하여, 어떤 근거로 기술할 수 있을까.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나를 만든다고들 한다. 저자인 그레고리 번스는, 이에 대해 특정된 기억이 우리를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신경생물학자이자 뇌과학자, 의사인 다양한 경력의 저자의 주장은 색다르다. 저자의 말에 의하면 우리의 자의식은 허상으로 과거, 현재, 미래의 3개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예를 들면 이렇다. 서두에 언급한 질문에 대해 답을 하면 '나는 어느 회사에 다니고, 누구의 엄마입니다.'는 과거의 자아, 문제를 직면해서 '뭐 이런 문제가 있나..'라고 인식하는 것은 현재의 자아, 앞으로 어떻게 컸으니 어떻게 할거라고 써야지 생각하는 것은 미래의 자아이다. 하지만, 인간은 불완전한 생명체여서 3단으로 딱딱 나누어 지진 않는다.

컴퓨터 파일 작업이라면 ver.1, ver2, 칼각으로 나눌 수 있겠지만 인간은 불완전하고 뇌 역시 수용할 수 있는 범위가 있기 때문에 기억을 조작하는데 있어 오류가 난다. 그러다 보니 내가 생각하는 나는 저장된 경험, 즉 데이터를 불러오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긴 채로 불러오기가 되고 오류가 된 정보를 근간으로 형성되게 된다. 흔히 역사는 승리자에 의해 왜곡된다고 하는데, 자아 형성에 비슷한 결의 이론을 적용시키니 새로웠다.

특히 마지막 부분이 좋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 여기에 저자는 세 가지

미래이상향을 말한다. 미래에 이루어질 의미에 초첨을 맞추어 창조하거나, 경험하거나, 누군가를 만나거나, 고통을 통해 배우기를 제시한다.

흔히 생각하는 과학적 이론뿐만 아니라 철학적 이야기까지 담겨있어 더욱 좋았던 '나라는 착각', 자아 비판에 빠지거나 자아의심이 드는 순간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던(강력 추천)하는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