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사람이 경계성 성격 장애일 때 - 다정하고 단호하게 나를 지키고 그를 돕는 법
우도 라우흐플라이슈 지음, 장혜경 옮김 / 심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최악의 상사를 만난적 있다. 다음번에 또 만난다면 휴직계를 내던 사표를 내던 피하고 싶을 정도로. 아마 많은 이들이 경험한 이야기일 것이다. 감정기복이 심하던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돌변하는 그런 사람. 두번 다시 겪고 싶지 않다.

본인은 그게 잘못인지 모르지만, 다른사람들에게 폐를 끼친 그런사람들이 아마 신경성 장애라면. 우리는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것인가.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는 말이 있듯 피할 수 없다면 '지피지기 백전백승' 그들에 대해 알아내서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대부분의 책들은 장애가 있다면, 그 사람에 대해서 논하는데 이 책은 다르다. 주변 사람에 대해서 논한다. 저자는 50년의 경력을 토대로 더 이상 알려지지 않은 질병으로 인해 제2의 또다른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법을 서술한다.

경계성 성격장애는 전체 인구의 2%이며, 입원이나 외래를 통해 전문인력의 도움을 요청하는 환자의 비율은 14~20퍼센트라고 한다. 하지만 자신이 성격 장애인지 인지하고 있는 자의 수는 아마 더 낮지 않을까. 경계성 환자의 주요 특징이 과도한 열등감과 오만한 태도를 오가는 극심한 변덕으로 때로는 상대방을 심하게 모욕하거나 상처주는 말을 서슴지 않는다고 한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이 사람을 어떻게 대하느냐, 방법이다. 그들은 불안이라는 감정의 결집체이기에 그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면 상황은 악화될 뿐이다. 그들을 존중한다는 표현을 하고 무조건 침착해야 한다... 상황은 개선될 수 있다지만 책의내용이 너무 원론적인것이 아닌가 싶을 수도 있다. 하지만 한 번씩 데였던 경험이 있는 자라면, 나의 과거에게 너는 죄가 없다. 그에게 죄가 있었을 뿐 이라며 위로를 줄 수도, 앞으로 또 만난다면 적어도 울지는 않겠다라는 의지를 다질 수 있는 기회이다.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가까운사람이경계성성격장애일떄 #우도라우흐플라이슈 #심심 #몽실북클럽 #몽실북스 #몽실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