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문트 프로이트 - 교묘하게 인간을 지배하는 무의식과 꿈의 세계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심리학 3대 거장
캘빈 S. 홀 지음, 김문성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프로이트는 심리학을 전공하지 않더라도 많은 이들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이름이다.

"꿈의 해석"으로 대중들에게 각인되어 있는 그의 이름은, 이름은 알되 책은 쉽게 찾아 볼 엄두가 안난다.

심리학 연구의 1세대라고 불리는 프로이트는 인생 전반을 걸쳐 인격과 정신 분석에 대해 연구했기에

오늘날과 맞지 않는다고 쉽게 부인할 수 없다.

책은 프로이트 이론에 대한 입문서라고 볼 수 있다. 저자인 캘빈 s.홀은 프로이트의 생애와 더불어

그의 이론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함으로써 많은 이들이 이름만으로도 진입장벽을 이룬 프로이트의 이론을

그나마 쉽게 만날 수 있도록 전개하고 있다.

이드와 자아 초자아의 3중체계로 인격이 형성된다고 보는 프로이트는 인간의 불만과 본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각 체계가 영향력을 발휘하여 인격을 변형해 나간다고 보고 있다. 특히 어린시절을 강조하고 있기에 유아교육학에서는

프로이트의 이름을 안 만날수가 없다.

하지만 그의 이론에 100% 공감을 할 수 없는 것이, 성선설과 성악설의 대립같은 느낌일지는 몰라도

인간의 인격 형성에 있어 유아기가 중요한 것은 분명하나 전생애적으로 일어난 사건들 역시 인격의 형성과 발달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프로이트는 유아기에 한정해놓고 있어 그 점은 아쉽다.

본래 심리학이라는 부분이 모두가 100% 동의할 수 있는 이론은 존재할 수 없고, 존재해서도 안된다고 한다. 그럴경우 상담받는 자에대한 잘못된 해석으로 심각한 오류를 낳을 수 있다고 한다. 프로이트의 이론 역시 발표할 때나 지금에서도 많은 이들이 동의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그의 이름이 아직까지 회자되는 것은 전인생을 걸친 연구와, 자기 확장을 통한 학문적 성과를 통해 후배 연구자들이 나아가고 연구할 문제들을 제기했기 때문 아닐까

자기자신에 대한 분석역시 끊임없이 진행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갔던 프로이트에 대해 쉽게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네이버 리딩투데이 카페를 통해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