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은 여자가 필요해 - 268년 된 남자 학교를 바꾼 최초 여학생들
앤 가디너 퍼킨스 지음, 김진원 옮김 / 항해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타개한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의 하버드 이야기는 그녀를 아는 사람들이라면 알 만한 스토리이다. 세계 최고 지성들의 집단, 하버드 로스쿨에 입학하니 학장이 하는 말 “남성들을 밀어내고 이 자리에 들어온 이유가 무엇인가.”

세계에서 가장 민주적이라는 미국에서도 여성들이 참정권을 갖고 경제적 독립을 이룬 시기는 길지 않다. 이 책은 그러한 역사를 뚫고 제일 보수적이라는 학계에서 변화를 일어낸 여성들의 이야기이다.

예일이라는 브랜드네임에서 진입장벽이 느껴질 수 있으나, 이 이야기는 우리와 같은 여성들이 일어나 자리를 찾아가는 이야기이다. 예일이 남자들에게만 열려있던 상황, 여학생들의 입학을 허용하기 시작할 때 까지의 이야기를 상세히 읊고 있다.

읽다보면 우리나라의 여대인 ‘이화여대’에 남성의 입학을 허용하라던 사건이 기억날 수 있다. 특히나, 아이비리그의 명문인 예일이 오직 남학생의 입학을 허용했다는 것은 의외였다. 미국이나 유럽의 역사를 살펴보면 여성들의 권리획득 부분을 바라볼 때 경제권이나 참정권 부분에 있어서 제한이 있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 것이다. 인종차별로 인해 대학 입학이 불허되었다는 이야기는 본적이 있으나 성별 차이로 인해 입학이 허락되지 않다니

읽다보면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다. 최근 본 영화 ‘서프러젠트’의 여성들이 생각이 났다. 보면 내 옆을 지나가는 평범한 여성들이 자신들의 미래를 바꾸고, 내 딸에게 나은 사회를 물려주기 위해 부당함에 대해 용기를 내는 여성들. 먼 세대의 옛 이야기인 것 같지만, 아직까지도 사회 속에 부당함들이 존재하고 있다. 요새 여성학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더 발견이 되는 부당함들. 우리는 과연 이러한 부당함에 목소리를 낼 수 있을까?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