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오늘 : 대한민국 편 1 어제의 오늘 1
안중용 지음 / 비빔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흔히 말한다. 어제는 오늘이고 오늘은 또 다른 어제가 될 것이고, 내일은 오늘이 된다.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이 논리는 하루하루가 기록이 되고 역사가 되는 순간이니 소중히 지내라는 이야기일 것이다. 이러한 일상 속에서 우리는 또 하루를 시작하고 살아가고 있지만, 다른 곳에서는 그야말로 많은 일들이 있었다.

저자는 이러한 숨겨진 일상에 대한 호기심에서 책을 펴냈다. 우리가 쉽게 알고 있거나, 사회인으로서 알고 있어야 할 사건들, 역사적인 순간들까지 책은 다루고 있다. 작게는 설날의 발전사부터 이봉창의사의 의거, 형제복지원 사건, 한때는 토요일 저녁을 책임졌던 무한도전의 종방까지 기록으로 남은 평범한 오늘과 평범하지 않은 오늘들은 모여서 역사가 된다.

첫 장부터 신기한 이야기였다. 신정과 구정을 나누어 부르고, 세뱃돈을 받던 구정이 더 좋았던 한 사람이었지만, 제정된 것이 얼마 되지 않았다니. 한켠에서는 일제의 유물까지 아직까지 남아있는 오늘날이라지만, 민족의 명절과 관련해서도 그런 부분이 있었다는 것이 처음으로 알게 된 사실이었다.

대성동초등학교의 졸업식 얘기 또한 흥미롭다. TV 광고에서 보이던 대성동 마을의 작은 초등학교. 군인들이 경비를 서고, 벽돌로 사방이 막혀있지만 아이들이 웃는 모습이 인상적인 그 곳의 이야기도 쉽게 접하지 못한 이야기였다.

이봉창 의사의 이야기도 눈길을 끌었다. 처음부터 독립을 하려던 것이 아니라 조선인으로 차별적인 대우를 받다가 쌓인 분노가 독립을 향한 의지로 갔다는 이야기는 그 어디서도 보지 못했던 이야기였다.

역사의 사전적 정의는 인류의 흥망성쇠라지만, 거창하지 않아도 우리들의 일상의 작은 사건들이 역사가 된다. 지금 어딘가에서 일어나는 일들도 지나면 역사가 될 것이다. 반대로 기록되지 않더라도 누군가는 우리가 보낸 하루를 기억할 것이다. <어제의 오늘>을 통해 지금 보내는 이 순간이 평범하지 않은 어제가 되기를 내일 올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하루가 되기를 바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