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의 신화와 진실 - 독소전쟁과 냉전, 그리고 역사의 기억
로널드 스멜서 외 지음, 류한수 옮김 / 산처럼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서 제2차 세계대전의 독일국방군과 무장친위대는 PC통신 하이텔 군사동과 잡지 『취미가』창간호가 나오던 시절부터 적어도 2010년대 극초반까지 국내에서 효율성과 간지의 상징이었습니다. 유연함의 극치인 임무형전술, 장군참모대학의 철저한 교육과정을 통해 배출된 유능한 장교단, “전격전”이란 용어로 대표되는 기갑지휘, 미하엘 비트만과 오토 카리우스로 대표되는 전차 에이스, 뛰어난 전투효율을 입증해 주는 것 같은 '교환비', 티거와 판터, 쾨니히스티거를 비롯한 간지나는 기갑차량과 Bf109, Fw190을 비롯한 전투기, 회고록이 세 개나 번역되어 있는 유보트, 그리고 간지나기 이를 데 없는 군복까지. 


이런 독일군은 국내에서 오랫동안 팬덤을 구축하였고, 국내 인터넷상 군사 분야 인식에 이러한 인식을 만들었습니다. 


만슈타인, 구데리안, 롬멜을 비롯한 독일군의 장교단과 병사들은 나치즘과 무관하게 조국 독일을 위해 싸웠으며, 전쟁을 제대로 모르는 정치가 히틀러의 간섭에 저항했고, 적국인 미군의 찬사를 받을 정도로 훌륭한 전투력을 보여주었으며, 홀로코스트와 무관한 존재라고 말입니다. 미국과 일본에 만연한 "깨끗한 국방군 전설"이 바로 이것입니다.


국군 장교단 또한 이러한 인식에서 자유롭지 않았습니다. 아니 오히려 냉전의 최전선에 있던 집단인 만큼 그런 군사적 효율성을 자랑하는 “명예로운 군인”의 표상에 관심과 애정을 표했습니다.


이러한 인식이 완전히 허구임을 드러내는 서적들이 국내에서 출간되어 퍼지면서 더 이상 인터넷상에서는 이게 주류적인 설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라울 힐베르그의 기념비적인 홀로코스트 연구서와 고려대 최호근 박사의 서적은 독일국방군이 홀로코스트의 일부였음을 분명히 명시하고 있습니다. 제프리 메가기의 『히틀러 최고사령부』(플래닛미디어, 2008, 2017)은 독일 장군참모집단에 내재된 조직론적 문제와 비효율성을 짚어내었으며, 볼프람 베테의 『독일 국방군』(미지북스, 2011)은 깨끗한 국방군 전설의 허구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독일국방군이 홀로코스트의 주체이자 일부임을 폭로하였습니다. 제라드 와인버그의 3권짜리 제2차 세계대전 통사도 독일군과 홀로코스트의 관계를 지적하고 있으며, 독일 군사술의 핵심으로 단기잔의 기동 작전술로 단기결전을 치른다는 '작전적 사고'가 독일군을 파멸로 몰아넣는 기제가 되었다는 연구서도 출간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독일군의 인물인 만슈타인, 구데리안, 롬멜, 갈란트, 슈코르체니, 폰 루크, 카리우스 등의 회고록이 국내에 출간되어 있습니다. 이들의 주장은 독일군의 시야로 제2차 세계대전사, 특히 독일의 소련 침략으로 시작된 대조국전쟁을 보게 만들고 있습니다. 아무리 인터넷 상에서 독일 애호 경향이 대놓고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독일군 소재의 책은 여전히 시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독일국방군 팬덤의 존재는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결단코 아닙니다. 이것의 원조는 다름아닌 미국을 비롯한 영미권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보다 더 거대한 시장 덕택에 영미권에서는 엄청나게 많은 관련도서나 출간되었고 일종의 서브컬쳐를 형성하였습니다. 우리는 그것의 말단 정도만 맛보았다고 할 수 있죠.


이런 영미권의 "깨끗한 독일국방군 전설"의 형성과정과 그것이 미국의 서브컬쳐에 미치는 영향을 깊숙히 파고든 책이, 바로 지금 소개하고자 하는 제2차 세계대전의 신화와 진실 입니다. 원제 『동부전선의 신화: 미국 대중문화속의 독소전쟁』(The Myth of the Eastern Front: The Nazi-Soviet War in Amercian Popular Culture)은 유타 주립대학의 홀로코스트 연구자인 로널드 스멜서 교수와 에드워드 데이비스 주니어 교수의 공저작입니다. 스멜서 교수는 이전에 여러 연구저작을 발간하였고, 데이비스 교수는 2007년 기준으로 비교적 신예인 교수였습니다. 상명대학교 류한수 교수님의 명성이야 이전에 여러 차례 말한 적이 있으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이 책은 효율적이고 뛰어나며 홀로코스트와 무관하고 히틀러와 갈등했다는 독일군에 대한 이미지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졌는지 적나라하게 파해칩니다. 


책은 냉전시대 미국이 소련과의 충돌 대비와 아군이 된 서독을 포용하기 위한 "실용적" 선택으로서 수백명의 장교 전범 중 대다수를 석방하게 되늰 과정, 깨끗한 국방군 전설의 서사를 만들고 전파하는 과정, 미국인의 반공주의와 러시아혐오증이 독일국방군과 무장친위대 장성들이 가진 극우 인종 이데올로기를 외면하거나 오히려 써먹는 과정, 베트남전 전후 독일군이 미군 개혁의 모델이 되며 독일군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그러니까 각종 통계수치 활용으로 “효율적”으로 보이게끔 보이게 서술한 여러 연구들이 독일국방군과 홀로코스트를 분리하며 독일군 찬양에서 죄책감을 거세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후에는 서방세계의 일부가 된 독일국방군 장교단의 회고록에서 드러나는 자기미화의 서사와 그것의 실체를 드러냅니다. 크림반도 유대인 90,000명의 학살을 외면하고 오히려 아인자츠그루펜에 학살하고 약탈한 유류품을 나눠달라고 한 만슈타인, 히틀러에게 엄청난 부동산을 받아챙긴 구데리안, 슈투카 에이스이자 진성 나치였던 루델, 인종주의적 관점을 대놓고 회고록에서 드러낸 멜렌틴 등이 말입니다.


특히 책이 다루는 것은 미국의 밀리터리 서브컬쳐입니다. 역사학 전공자나 학계 사람이 아니면서도 그저 독일국방군과 무장친위대에 대한 팬심 하나로 1차사료까지 참조하며 독일군 팬보이 서적을 써댄 사람들(이른바 ‘본좌’들)이 열거되며, 그들이 가진 인종 이데올로기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줍니다. 그 뒤에는 한때 국내에서도 소스로 인용된 적이 있던 악퉁판처닷컴을 비롯한 군사동호인 사이트들이 분석 대상이 되며, 인터넷상 독일군 애호가의 심리와 사상을 오프라인의 독자에게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 책의 묘미입니다. 이들의 책에서 독일군 팬덤과 리인액터들은 독일군 계급체계를 가지고 군대놀이를 하는 우스꽝스러운 존재로 묘사됩니다. 책에서 한 리인액트먼트 단체가 독일군 참전자를 모셔와 열심히 리인액트를 했는데, 참전자가 "다들 너무 뚱뚱하다."라고 한 부분은 실소를 터트릴 만할 대목입니다. 


이러한 폭로는 군사 서브컬쳐를 향유하는 사람들을 겨냥한 만큼, 아마존에서 책에 대한 별점테러를 낳았습니다. 깨끗한 독일국방군의 실체를 다룬 볼프람 베테의 책이나 오메르 바르토프의 책에 달린 별점테러보다 더 많이요. 대게 "학자라고 우리를 가르치려 들지 마라.", "저자들은 PC충이 틀림없다."등의 불만 가득한 아우성입니다. 자기들은 나치즘과 무관하게 순수한 취미가일 뿐인데, 왜 우리를 이상한 사람으로 만드냐는 겁니다.


아마존에 달린 별점테러들처럼, 자신을 순수히 나치즘 및 인종주의와 무관하게 자기 취미생활을 한다고 생각하신 분들은 이 책을 매우 불편하게 여기실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2017년 미국 버지니아주 살러츠빌에서 일어난 사태를 생각하면, 취미생활이 공격당했다는 불편함보다 더 경각심이 더 앞서야 할 일이 아닌가 합니다. 


샬러츠빌에서 남부연맹의 영웅 로버트 E. 리의 동상이 인종주의의 상징이 되며 철거하려는 움직임이 일자, 찬성 시위대와 극우 반대 시위대가 격렬히 충돌한 일이 있었습니다. 


이때 반대 시위대의 제임스 알렉스 필즈 주니어라는 자가 자기 차를 몰고 찬성 시위대로 돌진해 여러 명을 죽거나 다치게 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필즈는 독일국방군과 무장친위대에 심취한 인물이었으며, 고등학생 시절에 독일군의 전술에 대한 높은 수준의 리포트를 제출한 사람이었습니다. 독일을 자기 조국이라고 부를 정도로 중증이었던 필즈는 역사 선생이 그를 교정하려 애를 썼지만 끝내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저자들이 우려한, 독일군에 대한 애호와 극우 인종주의의 결합이 빚어낸 사태가 실제로 일어난 버린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 책에서 느껴지는 불편함이 군사 분야를 바라보는 자신의 시선을 다시 돌아보게 하고, 더 높은 지적 저변으로의 길을 열어줄 수 있는 계기로 삼으신다면 불편함을 딛고 더 큰 발전을 이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번역의 경우 이 분야에서 국내 독보적인 전문가이자, 디펜스코리아에 가입해 글을 쓰며 국내 인터넷 문화에도 익숙한 상명대학교 류한수 교수님이 훌륭하게 해내셨습니다. 작중 역사학자가 아닌 무장친위대 애호가를 Guru라 칭하는데, 이는 힌두교의 영적 스승을 말하는 동시에 비전문가이면서 팬덤에게 숭배받는 지식 전달자를 말합니다. 류한수 교수님은 이 Guru를 깔쌈하게 “본좌”로 번역하였습니다. 또한, 생소한 인명이나 용어에는 다 역자주를 달아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찬탄을 자아낼 세심함이 아닐 수 없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amGiKim 2020-04-23 00: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 책 리뷰 잘 봤습니다.^-^ 읽어야할 책이 한권 더 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