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시간, 8주에 끝내는 책쓰기 - 예비 저자를 위한 출간 가이드북
최영원 지음 / 파지트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쓰기를 하지 않는다고 해서 인생에 커다란 일이 생기지는 않는다. 하지만 당신이 만약 책을 쓴다면, 분명 인생에 새로운 변화를 마주하게 될 것이다. (p.33)"​
변화를 꿈꾸는 독서가, 혹은 예비 작가를 위한 책쓰기 교과서라고 해도 무방하겠다. 
글쓰기는 미학적인 행동이지만 책 쓰기는 그야말로 출판이라는 결과를 향한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구별된다. 작가는 책 쓰기를 위해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래서 쓰고, 쓰고 또 써야 한다고 한다. 누구나 다 안다고 지겹다고 하면서 누구나 하지 못하는 바로 그것이다.
책쓰기에 대한 프로세스를 상당히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먼저 책쓰기에 도전하지 못하는 심리적 상태 극복부터 제목, 목차, 개요, 머리말, 초고 작성법 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적절한 공감을 이끌어 내면서 행동해야겠다는 동기부여를 동시에 이끌어 내주는 힘을 느꼈다.
프리 라이팅(Free writing)의 중요성을 새롭게 알게 됐다. 글이 술술 잘 써지다가도 갑자기 막혔을 때 다시 재개하기가 어려웠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그러다 완결 짓지 못한 글들이 나의 메모장 앱을 가득 채우고 있는 현실이다. 일단 본문 작성을 시작하면 3개월 안에는 초고를 완성하라고 한다. 생각을 멈추지 않으며 손가는 대로 마구 쓰는 것이 포인트다. 고치고 다듬고 오탈자 찾는 것은 일단 다 쓰고 나서! 뭐라도 써놔야 고칠 것이 있으니 말이다. 이 부분 때문에 더더욱 부지런히 써야겠다는 다짐을 새롭게 해봤다.
새해에는 브런치 작가 승인을 받는다는 목표를 세웠다. 사실 목표를 세워 놓고 뭘 하고 있지는 않았다. 사실 자신이 없었기 때문에 확실하게 움직이지 못했다는 게 정확한 표현이다. 책이란 것이 얼마나 큰 선물인가? 하필 이런 타이밍에 내 손에 들어오다니. 이래서 책은 늘 옳다. 옳은 일에 본격적으로 동참할 기회다. 
그리고 우리의 목표는 결국 팔리는 책, 돈이 되는 책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누가 내 책을 읽을 것이고, 현재 시장에서는 어떤 책을 원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책을 쓰는 일은 그다음 일이다. 독자에게 읽히지 않고 팔리지 않는 책은 내 일기장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이때까진 내가 잘 쓸 수 있는 글을 쓰려는 생각이 많았다. 물론 아주 잘못된 방향은 아니지만 좀 더 현실적으로 가치 있는 책을 쓰기 위해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의미가 있는 내용으로 채워 넣어야 한다. 방향을 조금만 틀어도 결과물의 성패는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숨은 진짜 꿈, 인세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대충 몇 권만 팔렸다고 인세가 마구 들어오는 것은 아니지만 숫자로 보이는 판매 부수와 인세의 상관관계를 보니 가슴이 두근거린다. 꿈은 이렇게 신나게 꾸라고 있는 거니까, 이렇게 한 걸음 더 작가의 삶에 다가가본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