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춤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61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에서 온다 리쿠는 히가시노 게이고와 미야베 미유키를 이어 여전히 높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작가다. 그런데 일본의 온다 리쿠 골수팬들은 그를 미스테리 작가로 생각하진 않는다. SF나 호러 전문, 정확히는 환상소설 작가로 분류한다. 사실 온다 리쿠는 이렇다 할 추리소설을 낸 적이 거의 없다. 미스테리의 형식을 갖췄어도 본격이든 사회파든 특정 장르에 딱 들어맞는 작품은 없다. 심지어 작가 스스로도 안티 미스테리를 지향한다고 인터뷰한 바도 있다. 그런데 왜 한국에선 그를 미스테리 작가라고 분류하는 경우가 많을까?

온다 리쿠에 대한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지점은 바로 이 지점이다. 속시원하게 꽉꽉 닫힌 결말을 원하는 독자들은 모호하면서도 열린 결말이 많은 그의 작품을 불편해한다. 이는 어쩌면 장르소설 중에서도 독자층이 가장 얇은 SF환상/호러 장르가 많이 읽히지 않은 탓도 있을지 모른다. 아직 국내에 번역되지 않은 외국의 환상소설들을 읽다보면 온다 리쿠의 작품 속에서 기시감을 느끼는 경우가 빈번하다.(혹은 그 반대거나) 단편일 경우는 온다 리쿠의 단편들 못지않게 애매모호한 여운을 남기며 미완처럼 끝낸듯한 작품을 여럿 볼수 있다.

환상소설이라는 장르를 잘 모르는 독자들은 의례 판타지소설과 착각하기도 하지만 조금 다른 장르다. 대표적으로 에드거 앨런 포나 헨리 제임스, 아서 맥켄등의 고딕 호러 작가와 H.P 러브크래프트,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등의 SF환상 작가를 들 수 있는데, 이 작가들은 한국에선 어지간히도 마니악적인 취향을 타는 작가들이라 환상작가라기보다 그냥 퉁쳐서 호러작가로 많이 인식된다.

그러나 일찌기부터 공상과학과 괴담을 함께 좋아하는 일본은 이들을 추앙하는 작가들이 많아서 다양한 장르의 작가들이 양산되었는데, 온다 리쿠는 이들의 영향을 그 누구보다도 강하게 받았다. 아예 대놓고 자신은 레이 브래드버리, 호시 신이치, 심지어 (여자 데츠카 오사무라고도 칭송받는) SF 여성만화의 여제 하기오 모토의 열렬한 팬이라며 그들을 오마주한 팬픽성 글들을 당당하게 내놓았다.

이건 그들의 팬이라면 충분히 공감하고도 남지만, 가령 호시 신이치에 대해 일말의 지식도 없는 독자에겐 (온다 리쿠가 호시 신이치를 기리며 쓴) 콩트처럼 짧으면서 내용은 별거 없는듯한 단편은 어찌보면 황당할 수도 있다. 팬으로선 다소 안타까운 일이지만 그렇다고 온다 리쿠의 집필 스타일에 근거한 모든 책을 다 읽으라 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다만 개인적 팬심에선, 온다 리쿠만의 독특함이 이질적이다 하여 성급한 편견을 갖는 독자들이 조금만 너그러워지길 바랄 뿐이다.

하지만 그전에, 한국에도 수많은 작가들에게 자양분이 되어줄 훌륭한 환상소설들이 더 많이 번역 출간되었으면 좋겠다. 늘 궁금하게 생각하는 부분이지만 왜 한국에서는 유독 SF 고딕 호러 장르가 인기 없는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