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메르세데스 빌 호지스 3부작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븐 킹은 어렸을 때 산타 할아버지한테서 만능모형틀을 선물 받은게 틀림없다. 머리속에서 상상한 이야기, 요즘 말로 치면 ˝썰˝만 입력해도 떡하니 장편소설 한편으로 만들어주는 소설모형틀을 말이다. 안그러면 사람이 이렇게 매번 재미있는 이야기를 계속 써낼 수가 없다. 이 가설이 안통한다면 ˝스티븐킹 공장론˝은 어떤가. 결코 혼자 쓰는 게 아닐거다. 스티븐 킹의 고스트 라이터들이 최소 백명쯤 있다해도 난 그럼 그렇지 하고 믿을테다. 이것도 진짜 아니라면 정답은 하나다. 그는 그냥 신이라는 거. 갓티브 킹.

그런 킹느님께서 이젠 추리소설도 써주신다. 그것도 하드보일드 스릴러다. 스릴러 작가 전성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난다긴다 하는 작가들이 전세계에서 판을 치는데, 개중에 어느 겁없는 핏대가리가 ˝스티븐 킹 같은 구닥다리는 이런거 못쓸거야˝라고 빈정거리기라도 한걸까.(어쩌면 그 핏대가리는 조 힐일지도 모른다.) ˝필립 말로 같은 주인공에 싸이코패스 범인을 넣어서˝라는 썰을 만능소설틀로 돌려....가 아니라, 공장장으로 지시를 내려...도 아니고, 암튼 나라와라 뚝딱 만들어내셨다. 그리고 평론가들은 진작부터 스티븐 킹 이름을 새긴 트로피를 대기시키고 있었다는 마냥 잽싸게 에드거상을 수여했다.

그러나 찬양 일색만 있었을까. 아닐 것이다. 스티븐 킹은 그 명성만큼 호불호의 수도 어마무시한 작가다. 그가 본업(?)이 아닌 미스테리의 영역에 들어온 것만으로도 배알이 뒤틀린 이도 여럿이지 싶다. 그 평가절하들을 얼추 추려보면 아주 근거가 없는 것도 아니다. 대표적으로 지적받는 부분은 소설의 플롯 자체가 지나치게 클리셰적인 것이 많다는 점이다. 확실히 그렇다. 노련하지만 고독과 허무함에 빠진 은퇴 경찰, 그와 사랑에 빠지는 금발의 여주인공, 불안정한 부모에 의해 비뚤어진 성격과 성도착증을 갖게된 범인, 예정된 비극, 범인의 후일담을 담은 에필로그까지 전부 어디선가 본듯한 기시감이 강하다. 영화로 나왔다면 신선한 토마토를 받기에는 무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같은 이야기를 어떻게 연출하냐에 따라 감독의 역량이 평가되듯 작가 역시 플롯보다 이야기를 끌어나가는 묘사력에 따라 그의 진가가 드러난다. 뻔한 이야기를 밤새워서 읽을 수 밖에 없게 만드는 스티븐 킹을 찬사하는 것은 얼마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보여주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소설을 이토록 기교있게 잘 쓰는지에 대해 감탄하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기획된건지 반응에 고무된건지는 모르겠지만, 빌 호지스 시리즈는 연이어 두 편이 더 나온댄다. 그가 과연 하드보일드 불멸의 아이콘 필립 말로를 능가할 수 있을까. 분명한 것은, 킹느님은 앞으로도 우리를 발할라로 인도해주실거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디언밥 2015-08-21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잼있어요. 왠지 덕력(?)이 느껴지는... ㅋㅋ 스티븐 킹님 책은 유혹하는 글쓰기밖에 못봤는데 -0- 이걸로 입문하면 좋을까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