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 보기, 읽기, 담기
전영우 지음 / 현암사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경교육을 업으로 10년. 나는 나무나 숲과 관련된 활동이나 프로그램을 할 때 가장 행복하다. 나무나 숲을 그렇다고 환경교육을 전공한 것도 아니다. 때문에 아무리 강사분이 이런저런 특징을 말씀해 주셔도 구분하기 어려웠다. 그렇게 4년 정도가 지나니 몇몇 나무는 눈에 들어오기 사작했다. 특징들도 자연스럽게 머리 속에 그리고 편하게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해 줄 수 있게 되었다.여전히 나무와 숲은 나를 편안하게 행복하게 한다. 산림을 전공한 것이 아니기에 나무 하나하나의 생물학적 특성은 잘 모른다. 다만 어떤 나무 한그루보다는 작더라도 함께있는 것 즉 숲이라 할 수 있는 느낌을 좋아한다. 그런 분들에게 딱맞는 책이다. 어려운 용어로는 모르지만 나름대로 숲이나 나무와 느낌을 나누기를 즐기는 분들말이다.

나무와 숲과 그리고 자연과 교감을 나누고 느낌을 갖는 것이나 방법이 어려운 일이 아님을 편하게 책을 읽어나가면서 깨닫게 된다. 체험환경교육이 상업성을 띄게 되면서 1-2년새에 소위 '자연놀이'가 무슨 나름의 특허인 것처럼 '독점'하려는 양상을 가끔 보게 된다. 그런 현상에도 흔들리지 않고 나름의 방법들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스스로의 느낌들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깨달음을 다시 확신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이것은 곧 자신감과도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자연체험이나 자연의 감수성 등의 얘기들이 특별한 사람들만의 얘기가 아니라는 자신감.

'인간은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천부의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로 시작해서 '자연과의 감응은 나와 자연이 딴 몸이 아니라는 자각에서 시작합니다. 나의 들숨에 포함된 산소는 나무의 날숨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나무가 광합성으로 몸체를 불리는 것은 나의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나뭇잎의 숨구멍을 통해서 들숨으로 흡수했기 때문이라는 자각말입니다. 이런 자각이 심화되고 확장되면 이 세상의 삼라만상이 모두 그물망처럼 촘촘히 연결되어 있다는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겠습니까?'의 머리말로 시작해서 숲의 春·夏·秋·冬의 느낌들을 오감을 통해 체험했던 개인적 경험이 실려 있다.

책 장을 넘길 때마다 숲의 사진들이 장마다 있고, 심심찮게 페이지 전체에 나무나 숲이 환하게 들어온다. 책을 읽는다기 보다는 저녁에 숲 산책을 나온 느낌으로 읽었다. 하루나 이틀 저녁 시간의 짬을 잠시만 내면 여러분도 숲을 그리고 자연과의 감응을 위한 자신감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숲을 걸으면서 또는 숲을 가기 전에 읽어보면 좋겠다. 에필로그로 숲의 오감체험을 간단히 정리해주는 친절함까지....내 몸과 자연만 있으면 봄·여름·가을·겨울 숲을 즐기고 가슴에 담는 가능한 방법들을 쉽게 그리고 쉬운 용어로 정리해 직접 해보고 싶은 마음이 일게 한다.

'숲을 통해 자연과 감응하고, 지연의 질서에 순응함으로써 얻는 교감의 즐거움을 새삼 강조하는 이유는 그것이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첫걸음이기 때문입니다.'라는 표현에서 지은이의 마음을 느끼게 한다. 마음에 쏙 드는 작은 숲을 만난 느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기 물방울의 여행 달팽이 과학동화 1
윤구병 글, 최호철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환경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고자하면 생태계, 생태계를 이야기하고자하면 가장 중요한 것이면서도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곤란한 것이 순환에 관한 것이다. 그런면에서 이 책은 '아! 이책을 보면 되겠다'하는 탄성이 나온다. 물방울이 생겨서부터 바다로 가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것이다. 그러나 단순하게 바다로 그냥 가는 것이 아니다. 들판에 가뭄이 오래들고 아기풀무치는 지나가는 바람에게 죽으면 물이 되게해달라고 빈다.

아기풀무치는 죽어서 땅 속 깊이 묻히게되고 물이 된다. 흐르는 물이 아기물방울에게 함께 흐르자한다. 아기물방울은 그후 옹달샘으로, 송사리에게로, 수력발전소로, 수박밭의 수박에게로, 사람의 뱃속으로, 땀이 되어 살갗에 맺혔다가 사람들의 부채질에 몸이 가벼워져서 구름으로, 그리고 아기물방울은 비가되고 바다에 떨어진다. 흔히 물이 계곡에서 강으로 그리고 바다로 간다고만 생각하기 쉬운데 식물의 소리와 사람의 소리도 실었다.

각장의 그림마다 작은 아기물방울을 그려넣음으로 눈에 보여야지만 이해할 수 있는 어린아이들에 대한 배려도 잊지 않았다. 맨 마지막의 '엄마 아빠와 함께 보세요'에는 물의 순환과 쓰임'해서 물의 성질과 순환, 역할 등에 대해 동화에서 하지 못한 얘기를 잔글씨로 실었다. 달팽이 과학동화 중 37번째 책으로 5세 정도의 유아부터 초등학생까지 고루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들나물 하러 가자 어린이 들살림 2
도토리 기획 글, 이제호 그림 / 보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와 식목일에 나무를 심으면서 짬을 내어 냉이를 캤다. 봄가을에 나오는 냉이를 튀겨먹는 것을 유난히 좋아하는 아이는 연신 '엄마, 이게 냉이야, 잘 찾지?'라고 물으며 냉이를 캐다가 나중에는 냉이 바구니를 들고 따라다니며 '엄마, 캐면 나한테 줘. 내가 담아줄게'라고 얘기하며 따라다닌다. '겨울을 견디고 나오는 냉이나 쑥을 먹어야 봄을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며 냉이를 캐고 봄노래를 부른다.

아이와 가족들과 들나물을 하러갈 계획을 세우고 책을 챙겨보자. 들에 그냥 들고가기에 책이 조금 크기는 하지만 유용하게 쓰일 책이다. 책머리에 쓰려 있는 아래 글은 엄마가 아이에게 나물을 캐면서 조용히 하는 이야기 같다. 우리 겨레는 먼 옛날부터 들나물을 먹고 살았어. 먹을 것이 없을 때는 나물밥으로 끼니를 잇기도 했지. 이 책에 나오는 나물은 아주 흔하고도 맛있는 들나물이야. 무슨 나물이 있나볼래?

따뜻한 봄볕 느낌의 글처럼 그림도 자상하다. 덩그러니 들나물만 그려져 있는 것이 아니고 주변의 생태와 다른 생물들 즉 개미, 나비, 청개구리, 잎벌레 들도 함께 그리고 있다.
생물에 관심이 있어 책을 사면 그 생물에 대해서는 알 수 있어도 그 곳의 생태적인 특징에 대해선 도통 모르게 되어있는 다른 책들과는 달리 뭐가 더 중요하다고 얘기하기 어려운 느낌이 들만큼 전체적으로 보여주려고 노력한 느낌이 곳곳에 베어있다.

책의 위부분에는 그 장의 그림에 나오는 나물에 대한 이야기로 쓰임새와 특징 등을 엄마가 아이에게 이야기해주는 느낌으로 적고 있고 아래쪽에는 나물들의 그림이 있다. 글을 아직 잘 못읽는 아이들이라면 엄마나 교사가 먼저 읽고 생각나는데로 이야기해 주어도, '우리 엄마 대단하다'라는 소리가 나옴직하다.

'먹을 것은 공장을 거치면 안된다'는 생각을 가진 나의 경우는 이렇게 생태적인 특징과 쓰임새 등에 대해서까지 나와 있는 책이 반갑다. 인스틴트식품과 페스트푸드 음식을 눈으로 입으로 자주 대할 수 밖에 없는 환경에 있는 우리 아이들과 들나물을 함께 캐고, 뭍혀서, 초장에 찍어서, 비벼서 먹는 식탁. 생각만해도 눈에는 웃음이 입가엔 군침이 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