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와 거장 - 위대한 창의성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데이비드 W. 갤런슨 지음, 이준호 외 옮김, 박성원 감수 / 글항아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천재와 거장의 개념부터 정확히 짚고가야할 것 같다. 천재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남보다 훨씬 뛰어난 재주.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이고 거장은 예술, 과학 따위의 어느 일정 분야에서 특히 뛰어난 사람을 말한다. 천재가 거장이 될 수는 있지만 거장이 꼭 천재라는 의미는 아닌 것이다.

저자는 시카고대학 경제학과 교수다. 예술적 창의성의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예술가의 유형을 천재에 가까운 ‘개념적 혁신가‘와 대기만성형에 가까운 ‘실험적 혁신가’로 구분한다. 이 책 표지 <카드 놀이하는 사람들>을 그린 세잔은 개념적 혁신가인가? 실험적 혁신가‘인가?

P.10
이 책의 목적은 창의적 예술가들의 생애주기에 대한 나의 이론을 제시하고, 이 이론이 경험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 그리고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검토해보는 것이다.

예술가의 생애주기를 분석해 예술가의 유형을 구분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흥미롭다. 예술가를 굳이 왜?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나름 설득력이 있고 다각도로 접근해 본다는 점에서 의미도 있다고 생각한다. 개념적 혁신가든 실험적 혁신가든 그들이 가져온 변화는 지대해서 그들의 영향력을 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술가들의 작품의 질이 나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혁신적인 모습을 드러낸 연령대가 다양한 이유가 무엇인지 저자는 연구 과제로 삼고 그 질문에 대답을 찾았다. 경제학과이기에 가능한 연구라는 생각이 든다.

세잔과 피카소를 예로 들어 혁신가의 두 가지 유형을 대비해서 보여준다. 세잔은 그림을 통해 탐구한다. 피카소는 탐구하지 않고 발견한다. 두 화가의 차이점은 극명하게 구분된다. 세잔은 목표를 향해 발전해가는 ‘실험적 혁신가’ 고 피카소는 발견한 것을 전하는 ‘실험적 혁신가’ 다.

‘피카소는 보기 드문 천재였지만, 세잔은 천재가 아니었다. 세잔에게 예술은 많은 시간을 들여 힘들게 얻은 능력이었다’고 데이비드 호크니는 말했다. 피카소는 천재였고 세잔은 노력형 거장인 셈이다.

이런 접근법을 통해 나이와 예술적 혁신의 관계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진다. 실험적 혁신은 오랜 기간의 시행착오가 필요하니 예술가의 활동 후반기에 주로 나타나는 반면 개념적 혁신은 예술가의 활동 초기에 일어난다. 단, 모네와 빈센트 반 고흐 같은 예외도 존재한다. 모네는 실험적 혁신가였지만 활동 초기에, 반 고흐는 개념적 혁신가인데 후기에 가치 있는 작품을 탄생시켰다.

p.44
예술가의 목표는 혁신을 이루는 것, 즉 다른 이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과 결과를 자신이 창조하는 것이다.

세잔과 피카소는 결국 예술가의 목표를 이루었다. 추구하는 방식과 성취한 시기만 달랐을 뿐, 혁신가임은 확실하다. 천재든 거장이든, 실험적 혁신가든 개념적 혁신가든, 활동 초기에 이루든 후기에 이루든 그게 뭐가 그리 중요할까 싶다.

예술가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게 전혀 새로운 시도는 아니다. 앨런 보우니스는 현실주의 예술가와 상징주의 예술가로 구분하기도 했다. 인문학자라면 이런 식의 구분이 무의미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저자는 화가 이외에 조각가, 시인, 소설가, 영화감독을 예로 들어 개념적 혁신가와 실험적 혁신가로 나눠 생애주기를 분석하고 그의 이론을 적용한다.

p.384
실험적 혁신가는 찾고 개념적 혁신가는 발견한다.

저자는 두 유형에 대한 차이를 이해하면 학문의 발전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각자의 창의성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일반 독자 입장에서 이 책은 예술을 개념화하고 수치화 한다는 점에서 독특하고 재밌게 느껴진다. 또한 각 분야의 뛰어난 예술가들을 만날 수 있어 의미 있고 그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다.




#천재와거장 #데이비드W갤런슨 #글항아리 #경제학자 #예술가 #창의성 #실험적혁신가 #개념적혁신가 #책리뷰 #책소개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