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형제와 신기한 배 길벗어린이 옛이야기 15
히라노 다다시 글, 오타 다이하치 그림, 이기웅 옮김 / 길벗어린이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 형제와 신기한 배

김지혜

 

우리와 가까이 접하고 있는 일본은 문화나 정서가 닮은 점이 많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옛이야기의 서사구조도 소재만 빼 놓고 보면 비슷한 점을 찾을 수 있다. 작가 이름을 감추고 그림도 감추면 우리나라 옛이야기라 해도 크게 이견이 없을 듯 보인다.

하지만 그림책에서 빠질 수 없는 그림을 살펴보면 우리 옛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주인공의 눈매, 머리 모양, 옷차림에서 우리와는 다른 점을 찾아 볼 수 있다.

책의 표지를 잘 살펴보면 복선들이 숨겨져 있다. 그것을 통해 이야기의 흐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 붉은 그릇, , 조롱박, 그리고 사내아이의 행동, 일렁이는 강물... 이야기 곳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 것들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픈 어머니에게는 세 형제가 있다. 어머니를 위해 똑같은 일을 세 형제가 반복한다. 같은 상황에 글의 서사는 세 번 반복되지만 그림 속에서는 단순한 반복이 아닌 글을 보충 해 주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목표가 분명하지만 주위를 돌아볼 여유가 없이 도움을 요청하는 할머니를 지나가 버린다. 그릇을 내밀며 다가가는 할머니에게 첫째는 뒷짐을 진 채 단호하게 거절하는 모습을 보인다. 할머니와 첫째를 가까이 그림으로 묘사하였다. 대나무, , 조롱박은 할머니의 분신이다. 배를 따러가는 길목마다 대나무, , 조롱박이 첫째와 물리적으로 아주 가까운 곳에서 조언을 해 주지만 듣지 않는다. 조력자인 할머니는 끝까지 첫째를 도와주려 하지만 누구의 말도 듣지 않는 첫째는 결국 화를 당하게 된다. 이 때 글의 서사는 늪에 사는 괴물이 그림자를 보고 다로를 꿀꺽 삼켜 버렸습니다.’라고 쓰여 있고 그림은 괴물을 보여주지 않고 형태만 보여주면서 독자를 더욱 긴장하게 하는 효과를 보인다.

둘째도 효심이 가득하여 어머니를 위해 길을 떠난다. 첫째와 같은 서사지만 할머니와의 만남에서는 첫째 보다 좀 더 멀찍이 떨어져 있다. 할머니는 이전과 같이 물을 부탁하지만 둘째는 거절한다. 하지만 둘째의 표정은 첫째보다는 망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도 길을 떠나며 대나무, , 조롱박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팔다리를 쭉쭉 뻗어 흔들며 성큼성큼 목적을 향해 다가간다. 역시 조언을 듣지 않은 둘째는 괴물에게 잡혀먹고 마는데 이번에는 괴물의 실체를 그림으로 보여준다.

세 명의 형제에서 막내는 앞의 두 형의 실패를 극복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 기회를 가진 셋째는 할머니를 마주한다. 이전 두 번과 똑같은 서사지만 그림에서는 더 많은 이야기를 보여준다. 우선 시점은 첫째, 둘째와 달리 아주 먼발치에서 이 두 사람을 바라본다. 곧 프레임을 끝낼 것처럼 멀어져 있다. 할머니는 이전과 달리 적극적이지 않다. 손에 들고 있던 빨간 물그릇도 땅에 내려놓고 부탁한다. 할머니와 멀리 떨어져 있지만, 이전의 두 형들과 목적도 같지만 셋째는 할머니의 말에 귀 기울여 부탁을 들어준다. 그리고 그 대가로 할머니의 물건 2개를 받는다. 독자는 이때 이 물건이 분명 다음 맥락에 큰 역할을 하리라 예상하게 된다. 셋째는 길에서 만난 다른 조력자들의 말에도 분명히 귀 기울이며 목적지를 향해 다가간다. 마지막 순간에 위기에 처할 때 할머니의 물건들로 목숨을 구하고 형들도 다시 만나게 된다.

옛이야기에서 착한 일을 하면 복을 받고 악한 일을 하면 벌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의 이야기와 이 그림책은 차이점이 있다. 조력자인 할머니는 첫째 둘째 형에게 벌을 내리지 않는다. 바른길을 가르쳐 주고 인도해 준다. 이는 성급한 그들의 성격일 뿐 효심이 깊은 두 형들에게도 기회를 주고 싶은 한 마음의 힘이다.

 

숫자 3은 그리스 신화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신화에 단골손님처럼 등장한다. 게르만 신화에도 최초의 신들은 오딘, 빌리, 베 등 삼형제다. 성서에서는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를 말한다. 동방박사도 셋이고, 그들이 가져온 선물도 황금, 몰약, 유황 등 세 개이다.

인생에 찾아온다는 3번의 기회, 내기는 삼세판, 만세 삼창, 서당개 3년 등 숫자 3이 들어간 말이 많다. 숫자 3에는 '생산','안정'의 의미가 있다. 12가 합쳐진,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은 완전한 존재라 해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야기에 소재로도 많이 사용된다. 셋째의 지혜와 완전함이 잘 녹아나 있는 옛이야기 법칙에 꼭 맞는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