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덕한 카리스마의 매혹 - 우리는 왜 부도덕한 리더에 끌리는가?
진 립먼-블루먼 지음, 정명진 옮김 / 부글북스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은 왜 진실치 못한 리더에게서도 매력을 느끼고 그의 사악한 면이 드러난 후에도 그 리더를 계속 지지하게 되는 것일까. 그 지도자의 측근이나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사람들이라면 그럴 수 있겠다고 생각되지만, 전혀 상관없는 일반인까지도, 심지어는 감시역할의 기자나 이사회 구성원들까지도 그 지도자와 한 편이 되는 것은 무슨 이유에서일까.

처음엔 제목만 보고 그냥 지나쳤다가, 원제가 'The Allure of toxic leaders' 임을 알고서야 손에 잡게 된 책. 하기야, '사악한 리더의 유혹'이라 직역했다면 그런 '촌스러운' 책에 누가 관심이나 가졌겠나. 유혹이나 매혹이나, 사악이나 부도덕이나, 다 그게 그거고, 지도자나 그 속성인 카리스마나 다 동격 아니냐고 우긴다면 무슨 할 말이 있겠는가마는, 그래도 그 교묘한 제목 변환 솜씨에까지 벌써 책 내용의 상징성이 배어나온 느낌이다.

사람들은 어떤 때 무슨 이유로 강력한 리더라는 존재를 갈구하는지, 사악한 존재들이 그들에게 어떤 공약을 제시하며 리더 자리에 오르게 되는지, 그 지도자가 풍기는 어떤 매력이 사람들을 사로잡는지, 그 리더의 실상과 그의 약속의 허상이 들어난 후에도 그 권위는 어떻게 지속되는지, 그 지지자들이 여전히 따르는 사람들의 심리적 바탕에는 무엇이 있는지, 또 마지막으로 그런 리더의 정체를 어떻게 일찍 파악할 수 있으며 어떻게 제거할 수 있는지.

히틀러 같은 극단적 경우만 아니라 순진한 듯 보이는 가운데 교활하게 언론을 다루었던 케네디와 루즈벨트, 엔론의 경우처럼 사악한 자로 낙인찍힌 그런 경우뿐 아니라 록펠러와 포드 같은 가면 뒤 조정자들, 또 가명으로 처리하는 수많은 CEO와 중간 관리자까지, 이 책에서 다루는 리더는, 실로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하지만, 읽기 편한 책은 아니다. 내용이 어려워서가 아니라, 깊이 없는 심리학 이야기가 피상적으로 흐르고, 확신을 불어주는 논증을 제시한다는 욕심 때문에 그런지는 몰라도 빤히 보이는 결론을 이런 예 저런 예 들어가며 계속 미루는 그런 이유로, 이 두꺼운 책을 읽는 데는 제법 인내심이 요구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