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독서 - 세상을 바꾼 위험하고 위대한 생각들
유시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너무 generic하고 '촌스러운' 제목이라 그냥 지나칠 뻔했다. 그래도 이제 책을 읽었고, 오랜만에 책다운 책을 손에 잡았었다는 흐뭇한 느낌이다. 그냥 '상식이 넓어지는' 그런 수준의 책이 아니라, 인간의 삶과 사회의 모습 또 역사에 대한 이해라는 소득을 얻었다는 그런 흐뭇함. 그래도, 글쎄 내가 저자였다면, 어떤 제목을 붙였을까. '내 젊은 시절의 독서 산책'? 아니면, '불후의 명작들에 기댄 나의 변명'?

이 책에서 저자는 '그 불투명한 시기의 학생시절'에 읽었던 책들 중 14권을 골라, 어떻게 그 책을 만나게 되었는지, 그 책이 무슨 내용을 어떤 관점에서 다루는지, 20대 그 당시에는 어떤 면에서 깊은 인상을 받았었는데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은 어떤 면이 새롭게 보이는지, 차분하게 풀어나간다. 그 치밀함과 자상함. 마치 저자와 마주 앉아 그의 이야기를 듣는 그런 느낌이라고나 할까.

책 제목이 '무슨 책 14선'이 아니고 '독서'이듯이, 저자는 선택된 책 하나하나에 대해, 때로는 원문의 일부를 실어가며, 그 작가가 어느 시대의 어떤 사람이었는지, 어느 상황에서 그 글을 쓰게 되었는지, 또 비슷한 아니면 대조적인 다른 책 다른 사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그들의 유사점은 무엇이고 차이는 무엇인지, (이를테면 조지 헨리의 '진보와 빈곤' 이야기를 그 자체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리카르도와 아담 스미스의 생각과는 어떤 공통점이 있고 베블런과는 그 접근법이 어떻게 다른지) '큰 그림틀'에서의 그 작품의 위치는 어디인지 또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들려주려 애쓰고 있다.

어쩌면, 편향된 도서 선정이라는 오해를 받을 수도 있을지 모르겠으나, 하긴 어떤 선택이라고 그렇지 않겠나. 더구나 '정치인 유시민'의 선택 아닌가. 그래도 '어느 정도는 충분히 객관적'이라는 생각이다. 도스또옙스키 푸시킨 솔제니친 또 마르크스 최인호 리영희는 그 이름 값만으로도 수긍이 갔지만, 솔직히 맬서스의 인구론이나 다윈의 종의기원은 전혀 뜻밖이었다. 사실 내 읽은 적도 없지만 마치 익히 알고나있는 듯 그런 착각에 빠져 있었던 책들 아니던가. 하인리히 뵐의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와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이 두 부분은 이 책의 백미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얼마나 많았겠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