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좋은 형제 옛이야기 읽으며 치유 2
김지예.차인우 지음, 박경미 그림 / 해솔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좋은 형제, 해솔, 옛이야기 읽으며 치유, 김지예/차인우 글, 박경미/그림

 

 

 

옛이야기를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도 많고,

전해듣는 사람들도 참 기분좋고 재미있게 하는 이야기들인 듯해요.

이야기를 통해 권선징악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머릿속에 기억하게 되죠.

착한 사람은 언제가는 복을 받고,

나쁜 사람은 꼭 벌을 받는다라는 권선징악!!

그렇게 옛이야기를 통해 생활 속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아이들이

옛이야기를 통해 치유를 받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고 이 책에서는 말하고 있어요.

처음에는 그게 말이 되는건가?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책을 읽고 저자의 말을 들어보니...아..그렇구나..라는 생각이 드네요.

옛이야기 읽으며 치유 2번째이야기는 형제이야기를 모아놓은 <의좋은 형제>에요.

흥부와 놀부, 의좋은 형제, 짚방석과 표주박과 젓가락, 별난 재주 많은 일곱 형제

이렇게 어릴 적 모두 읽어보았던 내용의 이야기들로 구성이 되어있어요.

 

 

 


 

 

기존에 읽었던 내용과 조금씩 다른 부분도 있어서 새롭게 다가오는 내용이 좀 있었어요.

그냥 흥부와 놀부로 알았지...박흥부, 박놀부 라는 건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 알았네요.

그리고, 흥부가 처음부터 못되고 심술궂은 사람이 아니였고,

박영감이 큰아들에게 농사기술을 가르쳐 더 큰 부자로 만들게 하고,

동생을 잘 가르치겠지 싶어서 놀부에게만 농사일을 하게 했죠.

그런 놀부는 자신만 머슴처럼 부려먹고, 동생은 공부만 시키는건지..도무지

아버지의 큰 뜻을 알지 못한체...심술궂은 사람이 되었고,

흥부는 착한 사람으로 평판이 좋았죠.

이렇게 놀부와 흥부 이야기의 박영감이 나오는 앞부분을 본적은 없는것 같아요.

그리고 짚방석과 표주박과 젓가락이야기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해본 내용이였어요.

아이들도 이 내용은 모르고 있어서 참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답니다.

각각의 내용에서 다양한 의미와 상징하는 것들을 만날 수 있는데요.

옛이야기만이 가진 특징이 아닐까 싶어요.

요즘 매일 매일 싸우는 두 자매..매일 누가 잘했고, 누가 못했는지..시시비비를 가리기 위해

늘 울고불고 엄마한테 일러바치고...눈물바다일때도 있는 우리집!!

이 책의 제목 <의좋은 형제>에서 나오는 형제이야기를 통해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면서 우애있는 자매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