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괴담 : 두 번째 아이는 사라진다 ㅣ 문학동네 청소년 13
방미진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청소년 문학이라는 특수한 장르에 구미가 당겼다. 게다가 제목이 <괴담_ 두 번째 아이는 사라진다>이다. 한창 사춘기에 접어들어 날카로울 정도로 예민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소설의 제목이 괴담이라니... 그럼에도 책 표지 그림은 어딘지 모르게 귀여운 구석이 있다. 대체 어떤 내용일까? 강한 의구심과 호기심이 동시에 일었다.
표지를 넘기니 책날개에 ‘방미진’ 작가에 대한 짧은 소개 글이 있다. 그 중에서도 그녀의 대표작으로 선정된 작품, 사춘기의 불안과 공포를 강렬하고 환상적으로 그려 낸 청소년소설 <손톱이 자라날 때>가 단 번에 눈에 들어온다. 이렇게나 색다른 글을 쓰는 작가였구나 책을 읽기 전의 기분 좋은 흥분과 함께 기대감이 마구 증폭된다.
개성 넘치는 작가의 독특한 소설은 차례부터가 남다르다. 총 3부로 이루어진 소설은 1부 인물들, 2부 무대 위에서, 3부 배경 속으로 로 나뉜다. 마치 상영직전의 한 편의 연극을 보러 온 관객이 된 듯 한 느낌이다. 다음 페이지를 넘기니 어라? 1부로 들어가는 한 면 전체가 기괴한 문양들로 가득 차 있다. 시각적인 불편함을 느끼면서 어딘지 모르게 불길한 기운이 감도는 것 같다. 공포 소설을 읽는 독자를 위해 이렇게 사소한 효과까지 미리 계산 해 넣은 것일까? 새삼 이 책의 편집자도 정말 대단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은 두 명의 여자아이가 등장하면서 시작된다. 그 중 한 여자아이가 죽는다. 아이의 이름은 서인주. 인주의 죽음을 계기로 학교는 삽시간에 괴담에 휩싸인다!
- 연못 위에서 형제가 사진을 찍으면 둘째가 사라진다.
- 연못 위에서 일 등과 이 등이 사진을 찍으면 이 등이 사라진다.
- 연못 위에서 첫 번째 아이와 두 번째 아이가 사진이 찍히면 두 번째 아이가 사라진다.
얼핏 같아 보이지만 다른 괴담. 사람의 입으로 전해지는 건 변하기 마련이다. (p 40쪽)
아이들의 괴담 속 주인공으로 지목된 인물은 단연, 연두와 지연이다. 죽은 인주와 같은 합창부로 셋이서 늘 붙어 다녔기 때문이다. 단짝이면서 경쟁자인 묘한 관계. 이 사실만으로도 아이들에게 충분히 즐거운 가십거리를 제공하는 셈이니까.
또 다른 가십의 주인공들은 이른바, 트리플로 불리는 세 명이다.
재수 없어. 사이코. 사이코들.
사이코들.
치한, 미래, 보영. 이 셋을 보는 아이들의 눈은 곱지 않다. 이 셋은 그냥 친구가 아니다. 서로 사귀는 사이다. 남자 하나에 여자 둘. 커플이 아닌 트리플. (P 21쪽)
남자아이 하나를 공유하는 두 명의 여자아이. 그들이 이상적이라 믿는 삼각구도는 견고하고 굳건히 유지 될 수 있을까? 사춘기 시절에 한 번쯤은 튀고 싶고 주목 받고 싶은 심리는 이해한다지만, 누가 봐도 괴상하고 거북한 조합인데 말이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다시 여고생으로 돌아간 듯한 착각에 빠져들었다. 책에 등장하는 인물 하나하나가 학창시절 쉽게 볼 수 있었던 너무나도 익숙한 풍경이었기 때문이다.
단조로운 교복의 무리들 사이에도 유독 눈에 띄는 상당한 미모의 소유자 연두.
외모와 배경, 그리고 재능까지 모든 것을 갖춘 얼음공주 지연.
못생긴 외모의 평범한 아이지만 비범한 재능을 타고난 인주.
예쁜 연두를 동경하는 맹한 사차원 소녀 보영.
평범함을 감추기 위해 일부러 거칠게 말하고 천박하게 행동하는 미래.
부잣집 도련님으로 아이돌 가수 못지않은 비주얼의 치한.
쉬는 시간에도 점심시간에도 공부를 하지만 그래봤자 항상 이인자 세희.
공부 잘하는 여유로운 일등이지만 어딘가 음침한 구석이 있는 경훈.
이렇게 어느 학교에서나 꼭 있을 법한 친근한 ‘인물들’ 중에서 ‘무대 위에서’ 주인공이 될 첫 번째 아이는 누구이고 ‘배경 속으로’ 사라 질 두 번째 아이는 또 누가 될 것인가?
소설은 이런 물음을 전제로 시종일관 긴박하고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결말 부분에 이르러서야 추리소설의 반전의 마법이 풀리듯, 모든 궁금증이 해결되지만 그전까지는 이 박진감 넘치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될지 대단히 궁금하여 책장이 매우 스피디하게 넘어간다. 결말에 관한 세세한 부분은 언급하지 않기로 했다. 미리 책을 읽은 사람으로서 앞으로 괴담을 읽을 여러 독자들에 대한 예의이자 배려이니까.
그 나이 또래 아이들이 그러하듯 작가는 청소년을 필두로 크게는 인간의 위태롭고 불안한 심리를 매우 날카롭게 묘사하고 있다. 비단 청소년에만 국한되는 과도기적인 감정은 아닐 터. 책에 등장하는 어른들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상류층 특유의 가식과 교활함을 가진 지연 엄마 성혜와 대한민국 치맛바람의 표본인 극성맞은 연두의 엄마 수경, 그리고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인 지연을 병적일 정도로 증오하는 음악교사인 경민을 보아도 그렇다.
어른이 되어서도 누군가를 지나치게 시기하고 질투하는 인간의 일그러진 욕망은 마음 속 깊은 곳에 매복해 있다가 잠깐 방심한 사이에 고개를 쳐든다. 그로 인해 나도 모르는 순간, 그 누군가의 괴담 속 주인공이 되어있을 지도 모를 일이다.
괴담은 네가 간절히 원할 때 찾아와.
우정이 지독한 질투로 변했을 때,
열정이 비틀린 집착으로 물들 때,
정말 사라지길 바라는 존재가 생겼을 때,
네 귓가에 속삭이지.
“너 그 얘기 알아?” (책 뒤표지)
그렇다면 나는 첫 번째 아이인가? 두 번째 아이인가?
갑자기 서늘한 기운이 뒷목을 감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