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들
치고지에 오비오마 지음, 강동혁 옮김 / 은행나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증오는 거머리다.

사람의 살갗에 달라붙는 것. 사람을 먹고 살며, 인간 영혼의 진액을 빨아내는 것. 증오는 사람을 바꾸어 놓으며, 그들의 평화를 마지막 한 방울까지 빨아먹기 전에는 떠나지 않는다. 증오는 거머리가 그러듯 사람의 살갗에 달라부터, 표피 아래로 점점 더 깊이 파고든다. 그래서 피부에서 그 기생충을 떼어 놓는다는 것은 그 살점을 뜯어낸다는 뜻이 되며, 그것을 죽이는 일은 자신에게 채찍질을 가하는 것과 똑같은 일이다.


나이지리아가 배경인 아프리카 소설 어부들.

아프리카의 고유한 단어들과 이보족이 사용하는 이보어가 섞여있는 문장 덕에처음에는 굉장히 낯설게 다가왔다.

그렇지만 직접 눈앞에서 보는 듯한 생생한 묘사와 형제들의 감정 변화와 서사, 그리고 이야기의 전개에 서서히 몰입하다 보니 갈수록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그 당시에 나이지리아를 여행하고 있는 기분도 들었고 말이다.


"신들은 파괴하기로 선택한 자에게 광기를 안긴다"

한 예언으로 시작된 삶의 몰락.

형제들은 자신들이 누렸던 것들을 하나씩 잃어가고 무너졌다.

가족들은 해체되고 극한의 공포와 두려움만이 가득했다.

그럼에도 가족은 사랑으로 묶여있음을 보여줬다.

증오와 두려움, 공포로 인한 비극. 그리고 사랑.

소설 속 배경인 1990년대 중반 나이지리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비단 지금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증오는 거머리다.

사람의 살갗에 달라붙는 것. 사람을 먹고 살며, 인간 영혼의 진액을 빨아내는 것.

증오는 사람을 바꾸어 놓으며, 그들의 평화를 마지막 한 방울까지 빨아먹기 전에는 떠나지 않는다.

증오는 거머리가 그러듯 사람의 살갗에 달라부터, 표피 아래로 점점 더 깊이 파고든다.

그래서 피부에서 그 기생충을 떼어 놓는다는 것은 그 살점을 뜯어낸다는 뜻이 되며,
그것을 죽이는 일은 자신에게 채찍질을 가하는 것과 똑같은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