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강해 - 심판의 끝, 은혜의 시작 BST(The Bible Speaks Today) 성경 강해 시리즈
크리스토퍼 라이트 지음, 안종희 옮김 / IVP / 201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구약성경의 진수를 라이트는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고
선한길로 인도한다

예레미야에 대한 수많은 책이 있지만
이 책처럼 의미깊게 성경을 풀어주는 책도 흔치
않은듯 힙니다.

강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토퍼 라이트의 다니엘서 강해 - 오늘날 세상에서 신앙을 지키는 법
크리스토퍼 라이트 지음, 박세혁 옮김 / 도서출판CUP(씨유피)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크리스토퍼라이트의 책은 모두 강추합니다.. 최근에 읽은 ˝성경 난제에 답하다 ˝책도 좋습니다.. 이 책 굉장히 번역도 깔끔하고 라이트의 감성과 지성을 아주 잘 정리해서 신앙적인 강해로 잘 풀었습니다.. 세상속에서 신앙을 지키고 살아가고자 하는 분들에게 강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토퍼 라이트의 다니엘서 강해 - 오늘날 세상에서 신앙을 지키는 법
크리스토퍼 라이트 지음, 박세혁 옮김 / 도서출판CUP(씨유피)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성경에서 배운 하나님 나라와 세상에 속한 조직이 함께 바른 길로 걸어갈 때에는 문제가 없다.그러나 세상속에서 살면서 갈등하는 것이 내가 알고 있는 하나님 나라와 이 제국과의 충돌이 발생할 때인 듯 싶다.

’그럴때 나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2.타협해야 하는가? 대결해야 하는가? 늘 밀정의 마음이다.
이 양 갈래길에서 분별함이 필요한 듯 싶다.
다니엘이 바벨론 포로로 끌려와 이름과 바벨론식 교육을 받는 것은 허용(타협)하였으나 음식에 대해서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대결하였듯이 말이다. 늘 이런 순간들이 있는 듯 싶다. 사소한 것들에 대해서는 수용하는 것도 필요하나 본질에 대해서는 지켜내야 하는 것들이 있지 않은가?

3.이 책은 다니엘 12장 중 6장까지의 내용이 3분의 2를 차지하며,우리가 이 세상속에서 어떻게 존재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 준다. 그렇다. ‘낯선 땅에서 주님과 함께 살아가는 법이 있다.’ 라는 메시지를 주는 듯 싶다. 그래서 부제가 "오늘날 세상에서 신앙을 지키는 법"인가?

4.이방 땅에서 왕이 네 명이나 바뀌는 정치 현실속에서도 다니엘은 이방왕을 성실히 모셨고, 그 왕들 앞에서 오히려 왕들이 다니엘을 걱정할 정도로 충신이였다. (,사자굴에 들어간 다니엘을 생각해서 잠을 못이룬 왕의 모습 등) 그러나 자신의 나라를 망하게 한 원수의 왕들을 모시는 다니엘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5.저자는 영국인으로 인도에서 살아 온 자신의 경험을 2,600년전 다니엘의 시대로 가지고 왔다.
그래서 성경이 말하고자 하는 것들을 잘 이해하도록 우리를 인도하는 듯 싶다. 무엇보다도 양가성 (ambivalance)의 의미를 잘 설명해 준다.

6.영국이 인도에게 준 긍정적인 면도 있으나 노골적인 인종주의적 우월의식, 폭력적인 억압,영국의 산업혁명을 위한 경제적 착취라는 부정적인 측면의 언급은 우리가 어떤 세계관으로 현실속에서 살아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듯 싶다. 저자의 글을 인용하면 이렇다.

“우리의 소명 중 하나는 지역적,국가적,전지구적 차원에서 모든 형태의 정치 권력에 나타나는 두 실체 모두를 분별할 수 있는 지혜를 갖추는 것이다.
즉 바울은 로마제국이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 아래에서 선하고 건설적인 일을 이룰 수 있는 권력이 될 수도 있고, 동시에 노예제와 제국에 반대하는 모든 사람에 대한 군사적,공민적 폭력이라는 악 위에 세워진 사탄을 악의 근원일 수도 있음을 이해했다. (p281)

7.또한 저자는 깊은 연륜의 신학자로써 성경을 깊이 이해하기에 냉정한 이성과 따뜻한 감성으로 다니엘서로 읽도록 독자들을 인도한다. 무엇보다도 따뜻한 마음으로 독자들을 성경의 세계로 인도하는 매력이 있다. 감성적인 따뜻함이 있다.

8., 그의 책’성경 난제들에 답하다’ 에서도 느낀 것인데, 찬양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독자들에게 잘 전달한다. 이 책을 시작하는 프롤로그에서, 동일하게 한 곡의 찬양을 이야기하며 글을 시작했다.
그 찬양은 “죄 많은 이 세상은 내 집 아니네”.
우리가 세상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보여 주는 찬양이 아니였을까?

9.그런데,이 책을 마감하는 10장에 가면 또다른 한 곡의 찬양을 소개한다.
그 노래는 “ Come down, O love divine,(p375)^^
그러면서 이 찬양의 3절 가사를 이렇게 인용한다.

“거룩한 사랑이 나의 겉옷이 되게 하시고
겸비가 나의 속옷이 되게 하소서.
참으로 겸비한 마음은 더 겸손해져
그 결점을 미워하며 슬피 우나이다.

Let holy charity mine outward vesture be,
And lowliness become mine inner clothing;
True lowliness of heart, which takes the humbler part,
And o
er its own shortcomings weeps with loathing.

10.이방 땅에서 팔십 평생을 살아온 다니엘. 그 험난한 제국생활속에서 많은 왕들의 꿈을 해석하여 칭찬과 상을 받았으나, 정작 자신의 꿈에 대해서는 해석하지 못해, 아니 이해하지 못해 괴로워하고 번민하는 다니엘.

11.즉 왕의 꿈은 잘 해석하여 제국속에서 성공된 인생을 사는 것으로 보이나 정작 다니엘 본인은 자신이 꾼 꿈(7~12)으로 인해 번민하고(7:28) 그리고 여러날 앓고(8:27) 천사에게 묻는다.

12.만약 우리가 다니엘서를 6장으로 마감했다면 이 다니엘의 의미를 더 깊이 알 수 없지 않았을까 싶다.
그런면에서 이 책의 조금 아쉬운 면은 책의 내용이 6장까지의 내용을 중심으로 마무리 된다는 것일 듯 싶다.(후반부 7~12장은 책 전체에서 3분의 1 분량임.)

13.성전없는 낯선 타국의 환경속에서
예루살렘을 향해 창문을 열고 평생 기도했던 다니엘의 모습이 이 노래와 함께 보이는 듯 싶다.

오시옵소서..
이 곳에...
주님이 바로 우리의 현실속으로
오시게 하는 기도를 드린 것은 아니였을까?

그 분의 도우심을 늘 구하는 삶.
그것이 바로 전쟁같은 세상의 낯선 현실속에서
우리가 살아내는 힘과 소망이 되는 것은 아닐까?

14.다니엘서 마지막 12..
주님이 다니엘에게 한 말씀이
이 노래와 함께 울리는 듯하다.

“가거라.
세상속으로..
그리고
진정하고
하던 일을
계속해라^^
(keep calm and carry on)!

*아래 유튜브 노래는  Fernando Ortega 가수가 노래한

 “ Come down, O love divine"  찬양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크리스토퍼 라이트가 10장을 묵상하면서 떠오른 찬양입니다.

위의 글을 읽고 이 찬양을 들으시면~~ 다니엘의 마음이 느껴질 듯 싶어서 공유해 봅니다.^^ 샬롬~~

https://youtu.be/2DbytPhyJz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동체로 사는 이유
에버하르트 아놀드 지음, 김순현 옮김 / 비아토르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동체는 무엇일까? 그리고 공동체가 보여 주어야 할 핵심 가치는 무엇일까? 사람들은 왜 전 세계의 공동체를 찾아 저 먼 곳까지 방문하는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 공동체가 공동생활을 통해 보여주는 사랑의 모습. 즉 서로 좋은 관계성속에서 사랑하는 공동체의 모습을 보고 싶어서 일 듯 싶다.

그렇다면,공동체가 잘 운영되기 위해서 기본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진실한 말과 행동에서 나오는 공동체의 모습이 아닐까?아마도 이런 모습에 사람들은 환호성을 부르는 듯 하다.이기적인 형제와 자매가 죄악된 모습을 버리고, 서로 용서와 사랑과 화합의 모습으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갈까? 이것에 대한 궁금함은 누구나 있는 듯 싶다.

이 책은 제2차 세계대전의 전운이 있는 상황에서도 기독교적 가치를 고민한 에버하르트 아놀드가 쓴 책이다. 1920년 브루더호프 공동체를 설립한 그가 1925년에 ‘고백’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글이다. 11편의 짧은 글은 공동체에 대한 본질과 원리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이 책 후반부에는 카톨릭 영성가로 유명한 토머스 머튼이 이 글을 읽고 자신의 공동체론을 언급하였다.

먼저 약100년전 교회가 아닌 ‘공동체’ 라는 제3의 길을 선택하여 공동체 운동을 벌인 에버하르트 아놀드의 사상은 무엇일까? 그는 “공동체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의 토대 위에서 성령 안에서 사는 것이고, 사랑과 일치를 위한 부르심의 마음으로 사랑의 희생을 하는 것이다.”라고 논한다. 그러면서 공동체를 이루려는 의지는 먼저 진실한 말과 행동안에서 이루어진다고 언급한다.(P62)그리고, 진실한 말과 행동은 각 개개인들의 자발적인 연대의 수고로움에서 비롯됨을 말한다.

그렇다면 이런 사랑과 희생의 원천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모든 사람이 평화의 나라를 살아내려는 의지,형제처럼 탐욕없이 수고하려는 의지는 하나님으로부터 온다.영인 노동과 노동인 영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다가올 평화 미래의 근본 특성이다.”그렇다. 타인을 위한 수고하려는 의지는 결국 하늘에서 부터 나오는 것임을 피력하고 이후의 여러 글에서도 성령의 일하심을 지속적으로 언급한다.

“성령은 영혼의 모든 감각보다 더 유연하게 움직이며,사람들이 헛되이 영속적인 것의 토대로 삼으려고 하는 마음의 모든 능력보다 더 유연하게 움직인다.”(P69)
“예수님도 끝내 죽음을 맞으셨다.그러나 죽어서도 그분의 생명은 사랑으로,폭력없는 사랑으로,소유욕 없는 사랑으로 지속되었다.그래서 예수님은 이제 부활하신 분으로,성령으로,내면의 음성으로,내면의 눈으로,사랑의 생명을 훨씬 더 강렬하게 살아 계신다.이 사랑이 공동체를 이룬다.”(P69)

이렇듯 50페이지에 달하는 짧은 글이지만, 그 안의 내용은 매우 함축적이고 깊은 사색과 묵상속에서 꾹 눌러 쓴 글임을 알 수 있다. 특히 4장 ‘공동체는 믿음으로 작동한다’글은 압권이다. 꼭 필서를 통해 글의 깊은 가치를 누리시길 추천한다.
저자는 마지막 11장 ‘공동체는 믿음의 모험이다’ 에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노력은 믿음의 모험이며 노동은 늘 새로운 모험이라며, 친첸 도르프의 고백 시로 글을 마친다. 마지막 시는 이렇다.

“우리는
일을 중시하며
어떤 일이든 마다 않고
임무에 낙담하지도 않고
즐겁게 애쓰며
우리 돌들을
비계 위로 나르려네.”

저자는 왜 마지막 장에서 공동체는 믿음의 모험임을 거론한 것일까? 그것은 공동체의 모습은 규정되어진 틀 속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닌 늘 변화되어지는 모험의 과정임을 논한 것은 아닐까? 공동체에 대해 정해진 답은 없다.늘 공동체 안에 있는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기준을 만들고,바른 가치관으로 서로 협력과 용서의 공동체. 이런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 계속 달려가야함을 피력한 듯 싶다.

1920년대 급변하는 시대적 배경속에서 기존 교회의 모습과 다른 제3의 방향으로 새로운 공동체를 꿈 꾼 에버하르트 아놀드. 금융 대공황, 1,2차 세계대전 등으로 시끄러운 세상의 모습과는 달리 이 책 뒤에 나오는 형제 자매님들의 환한 얼굴의 흑백 사진은 공동체의 기쁨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듯 싶다.
백년전 새로운 모험으로 새로운 공동체운동을 펼친 저자처럼 이 맘몬 자본주의 세상에서도 또다른 새로운 공동체들이 많이 일어나길 기대해 본다.
또한 웃고 있는 이 사진의 형제 자매들처럼 사랑의 공동체를 꿈꾸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동체로 사는 이유
에버하르트 아놀드 지음, 김순현 옮김 / 비아토르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혼자 살 수 없죠? 신뢰해 주는 한 사람..그 한 사람들이 모여 공동체를 이루는 곳. 그곳이 사람 사는 나라. 세상 이겠죠? 누구나 꿈꾸는 공동체를 100년 전 꾸면서 새로운 길을 간 저자.이 책은 공동체를 꿈꾸는 분들의 기본서 인 듯 싶어요..특히 4장이 압권입니다... 필서의 기쁨을 누리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