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 꽃이 되다 한림아동문학선
임화선 지음, 김삼현 그림 / 한림출판사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부 만드는 이야기가 주제인 책 읽어보신분??
정말 색다른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서 꼭 읽어보고 싶더라구요.
저희 딸아이는 이 책을 읽고나서 옛날에는 두부가 이렇게 귀한 음식이었다는게 믿어지지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요즘에는 마트에 가면 한 진열대가 두부로 가득한데 말이죠. 그리고 주인공 연수와 같은 두부 장인들 덕에 지금 우리가 두부를 싸게 자주 먹을 수 있게 된 것 같다고 하더라구요^^
딸 아이 생각으로는 이 당시 두부가 양반들만 주로 먹는 귀한 음식이었던건 바로 간수를 만들때 필요한 소금이 비쌌기때문이라고 생각된답니다 ㅎㅎ








주인공 연수가 절에서 두부 만드는걸 도와주시는 도연네와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입니다. 근데 저는 이 그림을 보고 지나쳐놓고도 연수가 여자인지 알았지 뭡니까^^; 두부같은걸 만드는것은 으레 여자일거라는 인식이 있었나봐요... 실제로 책 속에서 연수 말고도 절에 있는 스님들도 두부를 만드시거든요. 굳이 남자 여자를 따지며 하는 일은 아니었나 봅니다.






연수가 아끼는 동네의 동생 부뜰이와 멀리 보이는 아이는 연수를 자주 다독여주는 홍대감님의 손자에요.
저 홍대감님의 손자가 자꾸 연수를 툭툭 건드리죠.
지금까지는 자기 삶에 큰 불만이 없었던 연수를 반항하게 만드는 아이입니다. 하지만 그런 반항과 일탈 덕에 연수는 자신이 나아갈길을 스스로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역시 인생은 시련과 역경의 연속이라 생각되었지요.







연수가 절에서 같이 일하는 만식이와 함께 도망가는 장면입니다. 홍대감의 손자덕에 배앓이 꼬였는데 마침 만식이가 살살 꼬시니 금방 넘어가버린 연수 ㅎㅎ
과연 그들의 일탈은 성공했을까요?
전체적으로 캐릭터들이 진지한 이야기였는데 만식이만 살짝 웃긴 부분이 있었어요.








자신의 잘못때문에 스님이 곤장을 맞자 크게 뉘우친 연수입니다.
주인공 연수는 아버지는 돌아가셨고 두부를 아주 잘만들던 엄마는 명나라에 두부를 만드는 방법을 전수해주기 위해 보내졌어요. 그런 엄마를 다시 만나고 싶어하던 연수는 과연 엄마를 다시 만날 수 있었을까요?

책 속에서는 사실 시대적 배경이 정확하게 나오지는 않습니다만 딸아이 생각으로는 식경, 미시, 진시 등의 말이 조선시대에 쓰인 말이고 신분제도가 존재하고 중국을 명이라고 부르는 것을 보니 조선전기 같다고 하네요.
자기도 언젠가 연수처럼 직접 두부를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 만들어보고 싶다는 이야기도 했구요.
절에서 일하며 살아야 되지 않는 지금의 자신이 참 행복하게 느껴진다는 말도 하더군요^^ 아이로 하여금 많은 걸 느끼게 한 책이라 아주 마음에 듭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