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 파킨슨병 전문가가 알려주는 파킨슨병 완벽 가이드북
사쿠타 마나부 감수, 조기호 옮김 / 리스컴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킨슨병은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률이 증가합니다. 치매, 뇌졸중과 함께 3대 노인성 뇌질환 중 하나로 꼽히는 이유입니다.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를 맞아 파킨슨병 환자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파킨슨병

더 이상 남 일 같지 않은 문제 파킨슨병.

이 병은 3대 노인성 뇌질환 중 하나로 꼽히며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저자는 파킨슨병으로 고통받는 이들과

그 가족에게 약물치료, 운동요법,일상생활 개선 등,

그림과 사진으로 알기 쉽게 설명한다.

또한 파킨슨병을 약물로만 치료하는 것이 아닌,

생활습관 개선과 운동요법을 함께 실천함으로써

보다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게 돕는다.

지금부터 파킨슨병을 알아가 보자.

파킨슨병이란?

손이 떨린다, 몸이 무겁고 생각대로 움직여지지 않는다···.

이런 증상은 도대체 왜 나타나는 것일까?

파킨슨병이란 어떤 병인지, 왜 생기는지,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치료법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제대로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파킨슨병

책의 초입에는 파킨슨병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설명한다.

이 부분을 읽으며 내가 얼마나

그 질병에 무지하고 관심이 없었는지 새삼 느꼈다.

또한 시중에 알려진 정보들 중

틀린 정보가 많다는 것도.

저자는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파킨슨병의 특징과 변화를 상세히 알려준다.

그러니 파킨슨병과 당장 관련이 없다고 하더라도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되겠다.

알고 먹는 약, 그리고 운동요법

파킨슨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치료와 운동요법,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약을 적절히 사용해 증상을 완화하고, 운동을 통해서 체력을 유지하며, 생활습관을 개선해 불편을 줄인다. 이 세 가지가 합쳐졌을 때 비로소 자립적인 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다.

파킨슨병

약을 그냥 먹는 사람과

알고 먹는 사람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저자는 약의 조합, 먹는 시간을 조절해

효과를 최대한으로 이끌어내는 방법을 담았다.

파킨슨병의 발병률이 높아지면서

그에 따른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졌다고 하니,

약을 제대로 알고 활용해 보자.

또한 모든 병은 적절한 운동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법.

'약으로 진행을 늦추고 운동으로 근육을 키워'

생활습관 개선까지 실천해 보자.

자립적인 생활을 위해.

함께 극복하는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한 병이라고 한다.

환자가 병에 대해 알아야 하지만,

가족 또한 그 병에 대해서 관심 갖고 알아야 한다.

저자는 가족이 챙겨줄 수 있고

알아야 할 것들을 설명하는데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상태를

유지하라'는 조언을 한다.

그리해야 환자의 자립성과 보호,

둘 다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기 치료가 아닌 파킨슨병,

장기적으로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최선의 노력으로 함께 극복해 보길 바라본다.

간략하고 쉬운 조언

그동안 수많은 파킨슨병 환자들을 진료하면서 환자들이 지나치게 의약물에 의존한다는 생각을 해왔습니다. 3분간의 진료로 3~4개월 치 약을 한꺼번에 처방받는 의료 현실에서 환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건강서가 필요하다는 걸 절감했습니다.

파킨슨병_조기호

책에는 파킨슨병에 대한 정보, 운동법 뿐만 아니라

생활을 안전하고 편하게 바꿔주는 조언까지

아낌없이 담았다.

식기, 도구, 집안 환경 조성,

옷의 선택까지 세세히 설명한다.

파킨슨병으로 인해 삶이 불편해질 수는 있지만,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고

등 뒤를 밀어주는 느낌이었다.

그 병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더 나은 삶을 포기하지 않도록 말이다.

'파킨슨병 환자와 가족을 위한

가장 믿을 수 있는 단 한 번의 파킨슨병 가이드'.

덕분에 그 병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잘 읽었습니다!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