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이광호 지음 / 홍익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성리학에 대해 가지는 인상은 무엇일까. 유학(儒學)의 한 줄기, 성(性)과 이(理)를 논하는 학문 - 즉 실제 정치나 피지배층인 민중의 삶과 유리된 학문('성리학적 질서'), 불교 국가였던 고려 말기에 수입되어 조선의 건국에서 사상적 기반이 된 학문, 조선 중·후기에 우주만물의 본체를 두고 벌인 사변론적 다툼 등이 있다. 거의 다 교과서나 참고서로 이해하고 있는 게 전부랄까.

 이렇듯 성리학에 대해 짧고 단순한 지식을 가진 '대중'이란 잠재적 관중에게, '성리학'의 커다란 쟁점 가운데 하나를 깊이있게 알게 해줌과 동시에, 국내 지폐 도안에 등장한 위인들 두 분의 사상을 비교분석방법론상으로 이해하기에 도움이 될만한 책이 출간되었다.

 

 책은《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라는 제목대로, 조선 시대 성리학의 쌍벽을 이룬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사상적 대립을 조명하고 있다.

 1부와 2부에는 각각 그들이 주고 받은 시와 편지가 실려있다. 편역자는 《퇴계전서》와 《율곡전서》에 실린 자료를 주고받은 시점을 순서대로 -일부에 대해서는 임의로- 배열했다고 한다.

 3부에는 퇴계가 승천한 뒤에 "율곡이 퇴계를 위하여 지은 만사와 제문과 유사"가 실려있다. 이 역시 주요 발췌용 참고문헌은 위의 두 전서이다.

 번역문이 먼저 실려있고, 번역문 아래에는 출처의 표시나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주가 달려있다. 본문 중간중간 편역자의 해설이, 각주만으로는 해설이 부족한 경우 번역문의 뒤에 보충 자료가 삽입되어있다. 그리고 가장 뒤에 원문이 실려 있다.

 부록으로 참고 자료나 색인이 있어 책의 확장성을 넓히는 한편 실용성을 높이고 있다.

  

 

 

 

 

 

 

 구성 면에서 살펴볼 때, 위와 같은 편역자의 친절한 배려로 인해 일반인이 쥐어 읽기에 부담없었다. 편역자가 퇴계 연구자라 그런지 몰라도 퇴계에 대한 옹호나 변론에 힘이 들어가 있는 '흠'을 잘 걸러낸다면, 풍부한 해설을 통해 유학에 대한 비전문가들치고는 비교적 객관적인 관점에서 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이 책을 통해 그들의 대립점과 근본적 차이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는 한편, 주자학의 특정 쟁점에 대한 심오한 철학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호사가(好事家)적 관심거리랄 수 있는 양 거두의 대립을 읽어내려가며 흥미를 잃지 않았다. 

 사실, 당시로서는 한 세대를 훨씬 뛰어넘는 나이차를 극복하고 퇴계 선생과 율곡 선생이 교류를 이어간 사실에 대해서는 그간 익히 들었으나, 상세한 사정을 알지 못했다. 겨우 안다고 말할 수 있던 것이, 주리론자인 퇴계와 주기론자인 율곡이 약간의 견해차이가 있었으나,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은 변함없었다는 어렴풋하고 불확실한 지식이었달까. 하지만 원문을 통해 살펴보니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그들은 서로에 대한 존중의 마음은 잃지 않았으나, 서로의 견해 차이는 근본에서부터 극심했다랄 수 있었다. 퇴계는 율곡과 상호 존중 속에 교류를 이어가면서도 종종 강한 어조로 비판하기를 삼가하지 않았으며, 율곡은 퇴계의 견해에 대해 그의 사후에 이르기까지 시큰둥하며 의심과 불복을 이어갔다. 예의로 위장한 글을 뺀다면 이들은 노골적으로 서로 대립하였던 듯 하다.

 개인적으로, 이들을 오늘날 서양과학적 태도로 무리하게 변환해본다면, 퇴계는 인문학자에 가까웠고 율곡은 사회학자나 자연과학자에 가까웠던 듯 하다. 또 오늘날의 사상에 억지로 대입해본다면,  -저자는 반대하지만- 퇴계는 신중한 보수주의자와 유사했고, 율곡은 중도적 보수나 실용적인 진보주의자에 가까웠다고 볼 수도 있었다. 바라보는 관점이나 중시하는 것, 출발점이 달랐기에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진리를 연구하며 나아가는 길목 중간중간에서 무척 대립했던 것 같다.

 

 만약 이 책을 읽고 성리학에 대해 몇마디라도 설명을 할 수 있게 된다면, 편역자가 이 책에서 보여주는 유학경전에 대한 뛰어난 학식, 치밀한 연구와 감탄할만큼 꼼꼼하고 깔끔한 정리(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표까지 삽입, 참고문헌끼리 내용이 상이할 경우 글자색을 달리하여 구별하기까지 함) 덕분이 아닐까. 

 

 이제껏 학계에서 관심만 있었으나 실제 체계적으로 정리해본 적이 없던 퇴계와 율곡의 사상적 대립을 문헌을 분석하여 충실히 정리해내었다는 점에서 이 책이 학문적으로 가지는 의의나 성과도 부인할 수는 없으리라.  

 다만 그러한 성과가, 저자 꿈꾸듯 서양 과학과 유학의 융합 또는 유학의 재탄생(p.22~23 참조)에 밑거름이 될 수 있게 된다면 더 없이 좋지 않을까. 

 퇴계와 율곡의 대립 속에서도 오늘날에 비춰보아 참고할만한 것들이 적지 아니할진대, 후대의 계승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점이 아쉽기만 하다.

 

 

 

 

  # 이 서평은 네이버 북카페 <책과 콩나무>의 서평 이벤트를 통해 지원받은 도서로 쓸 수 있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