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리 아파트먼트 - 팬데믹을 추억하며
마시모 그라멜리니 지음, 이현경 옮김 / 시월이일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태리 아파트먼트는 주인공 마티아를 중심으로

같은 아파트 이웃들의 스토리도 조금씩 전개된다.

보통 이웃이라면, 오가며 인사하고 만나고 교류하겠지만, 

팬데믹 상황에서의 이웃은 그럴 수 없으므로, 

이들의 이야기는  

발코니에서, 창문 너머 그림자로 사회적 거리를 유지한채 전개된다.  

이태리 아파트먼트의 구조가 우리보다 덜 폐쇄적일까, 

묘하게 공존하고 있는 모습이 흥미로웠다. 


우리나라 아파트도 분명 많은 인원이 집에 있었던 날들이 있었을 텐데, 

층간소음 정도로 인식했던 것 같은데 싶기도 하다.


거리를 유지할 때 더 잘 보이는 것도 있는 걸까, 

꽤나 흥미로웠던 이웃들. 

그리고 안전거리가 확보된 채 같은 상황을 공유하여 

더욱 친밀하게 느껴졌던 이웃들. 

뉴스에서 지나갔던 한 장면, 

발코니에서 서로 노래부르던 이탈리아 아파트먼트의 짧은 영상 그 이면의

우리와 같기도 다르기도 한 그들의 일상을 소설에서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 아파트 층층이 집안에서 생활하고 있을 이웃들도 

조금은 더 궁금해 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태리 아파트먼트 - 팬데믹을 추억하며
마시모 그라멜리니 지음, 이현경 옮김 / 시월이일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태리 밀라노 봉쇄 후

팬데믹 상황 속에 집으로 내몰린

다양한 상황들을 보여주면서,

주인공인 아홉살 마티아의 일상에 밀착해

그의 심경변화와 함께한다.


아홉살 남자아이는, 당연히-

영웅과 아이를 오간다.

쿨함과 응석 사이를 배회하며

바보같은 척을 할 수 있으면서도

모든 것을 드러내보이는 천진함을 끝까지 숨길 수는 없다.

말하지 않아야 할 것들을 알지만

중요한 걸 물어보는 대담함도 가지고 있다.

울아들도 내후년엔 이렇게 앙큼하고 의뭉스러워질지 기대하며 감탄했다.


이런 주인공의 면모는

알 수 없는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선명하게 반짝여 주었다.

아홉살은 팬데믹의 통계자료에는 관심이 없었고,

더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만을 생각했다.

그의 시선을 따라가다보면,

나도 통계자료에 관심이 멀어진다.


마티아는 아빠를 몹시 짜증나는 바이러스, 괴물, 무단침입자라고 했는데,

마티아와 아빠에게 엄청난 재앙인 팬데믹은

일종의 독감 같은 것일 지,

막고 통제 할 수 있는 수준 일지

결국은 재앙을 직면해야 할 지,

아슬아슬함은 소설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되었다.


아홉살도 팬데믹으로 인해 이렇게 다양한 변화를 겪는구나 싶었다.

크게 공부할 필요도 없고,

학교도 학원도 꼭 필요하지 않은 아이들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들에게도 일상이, 가족과의 관계와 교우관계,

성장해야 할 많은 부분이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팬데믹 속에서

아홉살 마티아와 함께

마티아네 아파트먼트 사람들의 상황을 살피며,

나의 아파트 밖 세상들도 상상해 보는 재미가 있다.

아파트 밖을 나갈 수 없는건 이태리나 여기나 똑같으므로-


할머니는 겁낼 필요가 없다며, 사랑의 반대말 증오가 아니라 두려움이라는 말을 몇 차례나 했다. - P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혐오와 대화를 시작합니다 - 편견과 차별에 저항하는 비폭력 투쟁기
외즐렘 제키지 지음, 김수진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혐오자와의 대화, 비폭력적인 수단이자 진정한 해결책이 되어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태리 아파트먼트 - 팬데믹을 추억하며
마시모 그라멜리니 지음, 이현경 옮김 / 시월이일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월요일부터 등원 중지된 일곱살 아이와 격일 재택근무를 하며, 소설책 읽는 중.

집에만 몇 일째 있는 아이가 안쓰러워

산책이라도 가자니깐 거부.

해있을 때 좀 나가자고 통사정을 해도 거부.

아이스크림 사러 가자, 놀이터 가자 해도 거부.

끝에 하는 소리가 마스크 쓰기 싫어서 안나간다고….

거기에서 납득, 그래 오늘도 집콕 하자!


이태리 아파트먼트

- 팬데믹을 추억하며


바이러스 때문에 격리되어 아이에서 어른이 되었다는 주인공 마티아

2080년에 팬데믹을 추억하며 쓴다는 프롤로그를 시작으로,

소설의 배경은 팬데믹 상황이 시작된 이탈리아다.  

  • 나는 아홉 살에 집에서 한 발짝도 나가지 않은 채 그런 싸움을 했다.  

(이태리 아파트먼트, 마시모 그라멜리니, 시월이일, 9p)


소설 도입부의 상황 묘사가 바로 어제 만난 COVID19 상황같다. 

벌써 만 2년이 넘었건만…

이렇게나 빨리 아직도 생경한 COVID19가 소설속 배경이 되다니. 


소설 속 이탈리아 상황도 너무나 비슷한데,


바이러스는 노인을 공격할 뿐이라는 로사나 누나,

요양원에 가지 않겠다는 젬마 할머니

바이러스는 싫지 않지만 젬마 할머니를 잃을까 걱정하는 주인공

소독약을 뿌리고 생일초를 하나씩 불게하는 엄마

이혼을 해야 하는데 닫아버린 법원- 


이 시국에 우리는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까

아니, 어떤 결정을 피해야 할까

물론 뭐라도 결정 할 수 있을 경우이겠지만.

  • 그러니까 우리를 포함해 수백만의 삶을 바꿔놓은 그날 밤, 

밀라노의 작은 아파트 3층 복도의 두 번째 방에서 이게 우리가 내린 결론이었다. 

(이태리 아파트먼트, 마시모 그라멜리니, 시월이일, 52p)


9살 마티아가 누나와 함께 내린 결정에 마티아가 개입할 수 있었던 건지.

5분 전에 이미 누나가 반긴,

아빠가 사정한

어쩌면 엄마가 허락한

아니 봉쇄령이 결정한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을까.

소설은 팬데믹 상황 묘사가 다가 아니고

봉쇄와 격리, 록다운을 속에서 

가까워 지지 못하고, 헤어지지 못하고, 만나지 못하고, 아이가 자라나는 가족의 이야기이다. 

9살 주인공의 통통튀는 서술이

자꾸 일곱살 아들의 소리와 오버랩되면서

소설속의 답답한 일상이 

내 일상과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게 몰입감을 끌어올린다. 


중간에 아이에게 이번엔 엄마책 읽어줄께 하며 좀 읽어줬다.

나도 내 시간을 갖고 싶다고~~ 

내 책 읽으려면 뭐.. 못읽어줄 것도 없지.. ㅎㅎㅎ 


서평이 낙이 되는 일상 -

시의적절한 소설






나는 아홉 살에 집에서 한 발짝도 나가지 않은 채 그런 싸움을 했다. - P9

그러니까 우리를 포함해 수백만의 삶을 바꿔놓은 그날 밤,
밀라노의 작은 아파트 3층 복도의 두 번째 방에서 이게 우리가 내린 결론이었다.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방인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방인의 새로운 번역은 어떨지, 다른 느낌으로 뫼르소를 좀 더 알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