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가 일각돌고래라면 -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편견에 대하여
저스틴 그레그 지음, 김아림 옮김 / 타인의사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기 전에는 종잡을 수 없었던, 니체 - 일각돌고래. 읽는 내내 즐거운 호기심이 유지되며 끝까지 흥미롭게 읽었다. 종을 넘나드는 지성, 인지능력, 추론 능력, 지각 능력에 대한 이야기와 인간 지성의 어마 무시한 과오와 대비되는 동물행동학에서 밝혀지는 동물들의 명석함이 놀라웠다.




니체가 인용된 이유


니체는 매 장 처음을 열어주는 철학자로 등장한다. 니체는 동물을 부러워하기도 했던 고통받는 영혼의 소유자였다. 그는 말년에 길에서 채찍질 당하는 말을 보고서 거의 미쳐버려 회복하지 못한다.


니체와 같이 사유하는 인간의 세계는 과연 동물들이 인식하는 세계보다 행복할까? 우월할까?



흥미로운 질문들


이 책은 여러 의문을 제기한다.


지성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지적 우월함이란?

인간의 인식 능력과 추론 능력, 인지 능력은 과연 동물보다 유용한가?

그래서 인간은 더 행복할까?

인간은 다른 종들보다 오래 살아남을 수 있을까?


각 장의 제목만 읽어보아도 재미있는 주제들!




인간은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고, 그 능력에 매몰되어 특별히 더 불행하게, 서로를 헐뜯으며, 인간만이 가진 치명적인 단점으로 더 빨리 자멸할 수 있다는 걸 이 책은 조목조목 풀어낸다.


일례로, 인간에게는 거짓말 하는 놀라운 능력이 있는데, 심지어 언어를 사용할 수 있어서 잘 속일 수 있고, 황당하게도 속이기보다 속는 걸 더 잘한다. 그렇다면 동물들은 거짓말을 못할까? 동물들은 모습까지 바꾸고, 감쪽같이 행동하며, 강자에게 대항하고 죽을 고비를 넘긴다. 동물의 능력은 이렇게나 뛰어나고 효과적인데, 인간의 거짓말 하는 능력은 부수적이고 소모적일 뿐이다.


또한 침팬지는 무척 흉포하고 잔인할 때가 있는데, 인간은 몇 배는 더 잔인하고 특히 '도덕성' 때문에 더 그렇다. 이런 도덕성에 힘입어 식민지 지배, 유대인 학살, 소수자 억압 등 다양한 폭력이 일어났다.



동물과 인간 인지능력의 비교


이 책은 인간의 인지 능력과 동물의 인지 능력이 서로 비교할 수 없음을 강조한다. 인간은 언어와 과학, 수학 같은 복잡한 인지 도구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잘못 사용하면 치명적인 실수를 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학기술의 오용은 환경 파괴나 인류의 생존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동물들은 훨씬 단순한 의사결정 전략을 사용하여 생존한다. 동물들은 복잡한 사회 구조 없이도 효율적으로 자원을 활용하고, 생존과 번식에 성공한다. 이 단순함이 오히려 효율적이고 실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동물들은 직관적이고 본능적인 방식으로 삶을 영위하며, 이는 인간의 복잡한 전략보다 오히려 더 성공적일 수 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우리는 인간의 지능이 항상 우월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예지적 근시와 잘못된 인지 전략


인간은 예지적 근시를 가지고 있어 미래의 고통에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이는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데 큰 장애가 된다. 예를 들어, 기후 변화 문제에서 인간은 당장의 이익에 집중하여 장기적인 피해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무관심은 결국 큰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 반면, 동물들은 현재의 생존에 집중하며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한다. 인간은 복잡한 인지 전략을 통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종종 잘못된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동물의 단순한 전략이 오히려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때가 많다는 점은 인간의 복잡한 지능이 항상 최선이 아님을 시사한다.




✨✨✨

인간의 여러 능력은 양날의 칼과 같아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점과, 인간 지성의 한계를 일깨워주는 책이었다. 



동물을 더- 사랑해야 하는 이유. 자연과 공존하며 배우며 살아야 하는 이유를 많이 발견함. 

인간의 지성을 과신하지 말고, 단순하고 평화롭게 살고 싶다고 생각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