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2 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2
토머스 도드먼 외 엮음, 이정은 옮김, 브뤼노 카반 기획 / 열린책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을수록 전쟁을 적확한 언어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 <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2>

감정적인 동요의 근원

2권으로 이어진 3부에서는 군인과 시민의 '전쟁 경험'을 4부에서는 '전쟁에서 벗어나기'를 다루고 있다. 읽기 전에는 트라우마나 전쟁 후유증, 잔존하는 피해들에 대한 내용이 연달아 나올 걸로만 예상했고, '읽기 힘들겠다.', '감정적으로 동요가 될 것 같다.' 정도로 우려했었다. 하지만 그런 부정확한 예상은 이 책을 읽을수록 불식되었고, 전쟁 상황을 적확한 언어로 이해해 나가면서 훨씬 복합적인 인식과 정연한 사고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전투 경험은 처음부터 끝까지 신체적이며, 전쟁은 강한 주관화가 이루어지는 경험이라는 점, 여타의 사회 경험과 비견할 수 없을 만큼 강한 정서가 동원된다는 것과 같은 내용들은 일종의 정의(definition)로 다가오며, 전쟁에 대한 논의의 올바른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이런 내용은 무수히 많았고, 올바른 정의에서 시작한 전개를 읽는 모든 과정은 '감정적인 동요'의 근원을 파헤치고, 많은 것들을 차근차근 정리하는 과정이었다.



근대전, 만연한 폭력

이 책의 전쟁사는 명명된 전쟁의 역사를 되짚는데 그치지 않고 근대의 폭력까지 전쟁의 양상으로 아울러 담고 있다. 더불어 군인과 시민의 전쟁 경험이 과거와 현재가 얼마나 판이한지를 다각도에서 비교해 나간다. 사망자 수 대비 부상자 수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생존자의 감각 체험이 왜 전례 없던 공포로 바뀌었는지, 새로운 시련과 혼란이 얼마나 무한하게 펼쳐질 수 있는지를 과거와 현재까지의 수많은 폭력 상황의 예와 함께 알 수 있었다.

수많은 사례를 알게 되었지만, 동요되는 감정은 감상적으로 빠지기 보다는 끊임없는 폭력 상황을 직시하게 만들었다. 각 주제별로 다루는 내용은 조금씩 달랐지만, 하나같이 포괄적인 분석과 현재의 폭력 상황과 미래의 예측을 담고 있는 점도 좋았다.

극단적 폭력과 전쟁을 유지시키는 상징들

물론 전쟁에 대해 알아간다고 해서 전쟁을 옹호하게 되지는 않는다. 전쟁은 그야말로 극단적인 폭력 상황이라는 점을 깨달을 뿐이었다. 가장 해로운 극단적인 폭력 상황으로 인한 병폐는 어느 정도 정점을 찍고 자제하는 질서를 세운 듯도 싶지만, 크고 작은 폭력 상황은 평화를 세계 곳곳에 계속 있어왔고, 우러 전쟁도 발발했다. 폭력은 과연 없어질 수 없는 것일까? 더불어, 전쟁이라는 대규모 집단 사회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는 분야마다 판이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한편, 의외로 계속 의문이 드는 점은 전쟁과 관련한 희생을 숭고하게 생각하고 명예롭게 만들는 상징성이었다. 전쟁을 떠받치는 것들은 여러 개이지만, 개인이 전쟁을 옹호하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차원의 인식부터 달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1권보다 힘들 줄 알았지만, 더 깊게 읽을 수 있었던 <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2>였다.

전쟁의 역사를 계속 훑어나가면서 전쟁에 대해 균형 잡힌 인식을 세워나갈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