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블 - 신과 인간이 만들어온 이야기
필리프 르셰르메이에르 지음, 레베카 도트르메르 그림, 전경훈 옮김 / 니케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이블 - une bible>은 우리 집에 온 날부터 마루 한 쪽에 펼쳐 놓고 읽었다. 피아노 위에는 온 가족을 위한 성경이 장식품처럼 펼쳐져 있는 집에 새로 온 성경이다.

무슨 책인고

이 책이 무슨 책인지 한참을 뜯어보았다. 멋지기는 겁나 멋진데, 분명히 성경인데, 오묘하기만 하다. 나는 기독교 신자인데, 교회는 안 다닌 지 오래지만 COVID19를 좀 탓해야 할 것 같고, 나에게 있어 신앙은 반투명 배경이다. 정확히 말하면 하나님께 매달려 말씀으로 시작해 말씀에 의지한 눈물의 나날들이 있었고, 하나님이 아이를 살려주셨다. 그 시절에 나에게 종교가 없었다면, 우리 가족이 하나님을 믿지 않았다면 결코 이겨내지 못했다. 그리고 나에겐 우리에게 하나님이 있어서 얼마나 다행이냐며 서로를 위로하는 친구들이 있다. 기독교는 나에게 익숙한 언어이자 친밀한 프레임이 되어준다. 성경도 열심히 읽고 공부했는데, 주해서와 함께 읽는 것도 좋아했다. 말씀은 정확하게 읽을수록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 책, 이 책이 문제다. 무슨 책인고... 우선 창세기의 창조 순서도 다르고 아담과 이브의 대화도 다르다. 그냥 모티프를 차용한 걸까, 성경의 해석에 가닿을 수 없는 내용들이 삽입되어 있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말씀과 상관이 없을까, 어쨌든 이 책을 놓고 주해서를 들이미는 건 진작에 맞지 않았다. 어조도 특이하다. 일관된 어조가 아니라 독특하게 바뀐다. 난 용감하게 책을 펼치는 편이라, 너무 대책 없이 책을 읽기 시작해서 처음엔 적잖이 당황했다.

성경의 재구성

프랑스 출신의 글 작가와 역시 프랑스 출신인 그림 작가는 성경의 사건과 인물을 재구성했다. 잘 알고 있는 성경의 부분이 재구성된 장에서는 미묘한 차이점이 느껴졌고, 정확히 알지 못하는 부분은 헷갈렸다. 그러다 어느 순간 전래동화처럼 글과 그림을 즐기며 읽기도 했다. <바이블 - une bible>은 어투가 시시때때로 바뀌는데, 번역에도 많은 공을 들였을 것 같다. 성경의 이야기를 이렇게 만나다니, 이건 너무 문학적이다.

아이와 성경공부를 열심히 하는 편은 아닌데, 가끔 어린이 성경을 같이 읽다 보면 축약과 압축된 말씀에 말문이 막힐 때가 있다. 나는 미션스쿨인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거치며 신앙을 키워온지라 어린 시절의 성경이 어떤 느낌일지 모르겠는데, 이 책을 읽으며 이렇게 새로운 접근법이 있다는 게 신기했다. 물론 이 책은 신앙으로 향하는 책은 아니다. 그렇다고 성경을 모독하거나 가르침을 오도해서 다른 길로 향하게 하지도 않는다. 독자적인 감동과 사유, 그리고 풍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새로운 책이다.



신과 인간의 이야기

종교가 나에게 일종의 언어이고 프레임이라는 사실은 가끔씩 생경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당연히 죄책감도 드는데, 회개에 대한 유혹도 강렬하다. 나는 지적 자유를 향유하고 싶다. 이 책은 그 경계를 나의 상상을 초월해서 무한히 넓혀서 보여주었다. 성경의 이야기들은 날개를 달고 자유롭게 날아다녔다. 그리고 누구에게든 전해질 수 있을 것 같았다. 여기에 내가 믿는 하나님이 있는 거냐고 묻는다면, 이것은 그냥 이야기라고 말하고 싶다. 어디에든 신이 있다고 느껴보길 바란다. 신앙이 선택이 된 불경한 사회에서, 그 정도의 자유는 모두의 것이 아닐까?

문득문득 성경을 찾아서 읽고 대조하고 성경을 다시 공부하고 싶은 마음도 들었다. 기도하고 싶게 했고 기도하기도 했다. 책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도 아직도 서가에서 비중이 있는 기독교 서적들을 강렬히 읽고 싶기도 했다. 언제든 손 닿을 곳에 공평하게 있어주는 종교는 무해하고 든든하다.


신과 인간의 이야기 <바이블 - une bible>, 궁금한 사람은 종교를 떠나 누구나 읽어보길 권하고 싶고 감탄해 보기를 바라 마지않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